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떡뚜꺼삐
떡뚜꺼삐

고층 빌딩이나 고층 아파트 맨 꼭대기는 점멸등이 있는데요

점멸등이 규칙적으로 깜박이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전류는 중단없이 계속 흐르는데 점멸등 내부의 어떤 구조로 인해서 깜박이는것 같은데 어떤 원리인지 답변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점멸등은 전류를 흘러서 전원 ON하고 OFF하는 전원공급부가 있고, 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제어신호에 전달하여 불이 켜지게되는 발광소자가 있고, 미리 점등 시간을 조절하여 전원이 시간에 맞쳐서 꺼졌다 켜졌다 할수 있게 주기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점멸등에는 러브체커(Love Checker)라는 이름의 회로를 많이 사용합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보면 가슴이 두근거리는 회로라고 해야 할까요..??

      캐패시터와 트렌지스터의 간단 조합으로 회로는 매우 간단합니다.

      전원을 연결하면, 커패시터가 충전이 되기 시작하며 전압도 같이 올라갑니다. 전압이 상승하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면 트랜지스터가 작동되면서 LED에 불이 들어옵니다.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커패시터가 방전되고, 베이스 전압이 내려간 트랜지스터는 다시 작동을 멈춥니다. 트랜지스터가 멈추고 난 커패시터는 다시 충전을 시작합니다. 이 과정이 무한하게 반복됩니다.

      즉 캐패시터 충전때는 LED가 꺼지고 모아진 전압으로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키면 LED가 켜지는 단순한 방식이죠.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에너지를 내는 라이트 기종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해서 빛에너지로 방출합니다. 우리나라 전기는 교류 전기를 사용하는데 구형파의 형상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로인해 지속적인 직류전류가 아닌 교류전류로 인해 빠른속도로 점멸하게되고, 우리눈에 확인이 가능할 정도의 점멸이라면 제품 자체적인 결함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규칙적으로 깜박이는 점멸등은 발광체를 이용한 전자기기로, 광원이 되는 전구가 발광체로 대체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발광체는 일반적인 전구와는 달리 특수한 방식으로 작동하여, 규칙적으로 깜박이게 됩니다.

      점멸등의 발광체는 대개 인버터(반전기)와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버터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바꾸는 역할을 하며, 컨트롤러는 발광체의 발광 주기와 광도 등을 제어합니다. 이 두 가지 장치를 조합하여 발광체를 제어하면, 규칙적으로 깜박이는 빛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점멸등은 발광체 내부에서 전류가 일정한 주기로 전류가 차단되고 다시 흐르면서, 이에 따라 발광체가 발광하고 꺼지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발광체의 컨트롤러가 이 주기를 조절하여 발광체가 일정한 주기로 깜박이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또한, 발광체의 구조 자체도 깜박임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일부 LED 점멸등은 두 개의 발광체를 교대로 사용하여, 한쪽 발광체가 켜지는 동안 다른 쪽은 꺼지는 방식으로 깜박임을 만듭니다.

      즉, 점멸등은 발광체의 내부적인 전기적인 원리와 구조, 그리고 외부적인 제어장치를 조합하여 규칙적으로 깜박이는 빛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고층 건물의 꼭대기에 설치된 점멸등은 항공 안전을 위한 조치로서, 비행기 조종사들이 건물을 인지하고 회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러한 점멸등은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는 LED(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점멸등이 일정한 주기로 깜빡이는 이유는 이 LED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에 있습니다. 점멸등에 사용되는 회로는 일정한 주기로 스위칭되는 플립플롭(Flip-flop) 회로를 사용합니다. 이 회로는 고주파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직류 전원을 일정한 주기로 교류 전원으로 바꾸어 LED에 공급함으로써 깜빡이는 효과를 만듭니다.

      일반적으로, 깜빡임의 주기는 20-30초에서 몇 분까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항이나 헬리패드와 같은 항공시설의 주변에 위치한 고층 건물들은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색깔별로 차이가 어떤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고층빌딩의 경우 헬리콥터나 비행기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점멸등을 설치하게 되어 있습니다. 몇 층짜리 빌딩부터 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밤에 고층 빌딩을 보시면 모든 빌딩들이 표시등을 켜 놓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점멸등은 회로적으로 보면 스위치가 주기적으로 켜졌다가 꺼졋다가를 반복하거나,

      특정 회로의 전류 흐름을 계속 변경시켜 작동하게 설계되어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