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06.21

윤동주 시인의 서시 내용 해석 좀 부탁드려요.

윤동주 시인의 마지막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 수록된 서시는 너무나도 유명한 작품인데요.

해당 시만 봐도 윤동주 시인의 생애를 알 수 있다고 하던데요.

시의 주요 내용들에 해석을 덧붙여 간략하게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첫째 연은 하늘-부끄럼, 둘째 연은 바람-괴로움, 셋째연은 별-사랑을 중심으로 하며 첫째 연에서 하늘의 이미지가 표상하듯 천상적인 세계를 지향하는 순결의 의지가 드러나며 바라는것, 이념적인것, 실존적인 것, 한계적인 것 사이의 갈등과 부조화 속에 오는 부끄러움의 정조가 드러납니다.

    둘째 연은 대지적 질서 속에서의 삶의 고뇌와 함께 섬세한 감수성의 울림이 드러나며

    셋째연은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서 진실한 마음, 착한 마음, 아름다운 마음을 바탕으로 한 운명애의 정신이 핵심입니다.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라는 구절은 운명애에 대한 확고하면서도 신념에 찬 결의를 다지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윤동주(尹東柱)가 지은 시. 1941년 11월 20일에 창작되었고 그의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1948)에 수록되어 있다. 이 시는 윤동주의 생애와 시의 전모를 단적으로 암시해주는 상징적인 작품이다.


    왜냐하면, 이 시는 윤동주의 좌우명격 시인 동시에 절명시에 해당하며, 또한 ‘하늘’과 ‘바람’과 ‘별’의 세 가지 천체적 심상(心像)이 서로 조응되어 윤동주 서정의 한 극점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서시」는 내용적인 면에서 세 연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연은 ‘하늘-부끄럼’, 둘째 연은 ‘바람-괴로움', 셋째 연은 ‘별-사랑'을 중심으로 각각 짜여져 있다.


    첫째 연에서는 하늘의 이미지가 표상하듯이 천상적인 세계를 지향하는 순결 의지가 드러난다. 바라는 것, 이념적인 것과 실존적인 것, 한계적인 것 사이의 갈등과 부조화 속에서 오는 부끄러움의 정조가 두드러진다.


    둘째 연에는 대지적 질서 속에서의 삶의 고뇌와 함께 섬세한 감수성의 울림이 드러난다.


    셋째 연에는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서의 ‘진실한 마음, 착한 마음, 아름다운 마음’을 바탕으로 한 운명애의 정신이 핵심을 이룬다.


    특히,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라는 구절은 운명애에 대한 확고하면서도 신념에 찬 결의를 다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자신에게 주어진 운명에 대한 결의는 험난한 현실을 도피하지 않고 그에 맞서 절망을 극복하려는 자기 구원과 사랑이 최선이라고 할 수 있다. 절망의 환경일수록 자기자신만이 스스로를 구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시인은 운명에 대한 긍정과 따뜻한 사랑을 선택한 것이다.


    그러나, 이 운명애의 길은 관념적으로 도출된 것이 아니라 진솔한 자아 성찰과 통렬한 참회의 과정을 겪으면서 변증법적 자기 극복과 초월의 노력에 의해 마침내 획득한 것이라는 점에서 참된 생명력을 지닌다. 단순한 운명의 순응이 아니라 그 극복과 초월에 목표를 둔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서시인 이 작품은 시집의 전체적인 내용을 개략적으로 암시하고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또한 존재론적 고뇌를 투명한 서정으로 이끌어 올림으로써 광복 후 혼란한 시대에 방황하는 당시의 많은 젊은이들은 물론이고 세월을 뛰어넘어 지금까지 따뜻한 위안과 아름다운 감동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