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개월 아이 공복 유지 몇 시간이나 가능한가요?
식욕도 많아 잘 먹고 간식도 자주 먹는 아이인데 요즘 들어 밥을 씹기만 하고 안 삼켜서
식습관을 고쳐야 하나 고민인데 차려주면 안 먹는다고 하고 다시 밥 달라고 하고 반복이라
좀 굶겼다가 먹이려는데 35개월 아이 몇 시간이나 공복 유지해도 별 탈 없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35개월 아이의 공복 유지 시간은 아이의 건강 상태, 식사 습관, 그리고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아이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있다면, 2∼3시간 정도의 공복은 별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의 건강 상태나 식사 습관에 따라 더 긴 시간 동안 공복을 유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의 건강 상태와 식사 습관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영양분을 잘 섭취해야 성장을 잘 합니다. 따라서 공복의 시간을 길게 하지 않는게 좋겠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공복 시간이 생각보다 길어진다고 하더라도 두끼 이상은 굶지 않는게 좋겠습니다. 아이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부분이고 건강에도 직결이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조심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으려고 할때는 간식을 줄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일정한 시간에 밥을 먹도록 해야하며 꼭꼭 씹어 먹는 모습을 보여주며 씹지 않고 먹지 않도록 습관을 들이시는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밥을 먹기 싫다고 해도 공복시간은 2~3시간은 넘기지 않는 것이 좋으며 되도록 간식을 주지말고 배가 고프다고 할때 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그러나 밥 먹는 시간이 일정치 않거나 간식을 많이 주게 되면 아이들이 밥을 잘 먹지 않을 수도 있으니 밥먹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식습관을 올바르게 교육 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아이가 밥을 잘 먹다가 안 먹으니 엄마도 속이 많이 상하시겠네요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하지 않으면 다음 식사 시간까지 6~7시간 정도는 괜찮아요
정해진 식사 시간이 아니면 밥을 먹을 수 없다는 걸 아이가 인식 하여야 합니다
몇 번 하다 보면 대부분 식사 시간에 식사를 잘 합니다
반찬 투정도 없어 져서 좋아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경우는 2시간 정도 공복 유지가 가능 합니다.
대신에 수분 섭취를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는다 라고 한다면 이유와 원인은 분명 있을 것입니다.
질감과 식감이 맞지 않아서, 냄새가 자기에게 와닿지 않아서, 목이 부었거나 아파서, 입맛이 없어서, 감기로 인한 질병으로 인해서, 피곤해서, 잠이 와서 등 다양한 이유와 원인이 있을 것이오니 아이의 상태를 살피어 아이의 불편함을 해소 시켜 주는 것이 좋겠구요.
아이가 먹는 것을 잘 먹지 않는다면 병원 상담을 통하여 치료를 받는 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굳이 공복시간을 아이에게 억지로 두는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음식을 먹는 게 가장 바람직합니다. 아이들 배는 가장 정확하고 솔직해서 정말 배가 고프면 배가 고프다고 하는 것이고 배가 고프지 않다고 하면 고프지 않은 것입니다. 평소에 먹는 간식의 양을 줄이거나 식사 시간과 가까워졌을 때 먹이는 간식에 중단해보세요.
안녕하세요. 35개월 아이는 보통 4~5시간 정도 공복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공복 시간을 너무 길게 하거나 무리하게 굶기면 아이에게 스트레스가 될 수 있으니, 간식과 식사 사이에 적당한 간격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식습관 문제는 전문가와 상담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4~5시간 간격으로 한번 먹여보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