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7

변압기의 과학적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일상생활에서 변압기는 전압을 변화시키는 설비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러한 변압기의 과학적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23.05.17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변압기에는 기본적으로 전자기유도원리가 포함되어있고, 자기장의 세기와 코일의감긴횟수등을 조절하여 다른 전선에 형성되는 전압량을 조절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기 유도원리를 이용합니다.

    철심에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감고 1차 코일에 교류전류를 흘리면 전자기유도에 의해 2차 코일에 유도기전력이 생기고 유도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1차 코일이 만드는 자기장이 철심을 따라 2차 코일을 통과하게 되고 2차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전자기유도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때 코일을 감은 수에 비례하여 전압이 높아집니다.


    2차 코일의 감은 수를 1차 코일의 10000배로 하면 1차코일에 1.5V만 걸어도 2차 코일에는 15,000V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변압기의 원리는 1 차 측에 교류가 흐르면 이 전류에 의해 자속이 발생되고, 2 차 측의 권선에는 이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기전력이 유기 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

    A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자속이 생깁니다

    자속은 보이지 않지만 자기력선의 방향에 따라

    코일에서 흘러 나와 코일로 들어가게 되는데요

    그 흘러나온 자기력선을 이용하여 자기력선이 흐르는 곳에 B코일을 두게 되면 전기적으로는 연결이 되어있지 않지만 자기적으로 연결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력전달이 이루어지려면 자기력선이 긴밀히 연결이 되어있어야 하기에 철심을 사용하여 철심 양쪽에 A,B코일을 연결해주어 결합을 시킵니다

    이러한 두 코일 한쪽에 전류를 흘려주면 철심내에 자속이 발생하고 기전력은 코일의 턴스(감은 횟수)에 비례 하므로 교류전압을 조절하여(승강압) 발생시킬수있습니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관련된 설명이 잘 되어 있는 링크를 남깁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1458&cid=58941&categoryId=58960


  •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AC전압과 전류 크기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이며, 전자기 유도 작용을 이용합니다.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한 도선에 교류를 흐르도록 하는 것입니다.

    전기가 흐르는 방향과 크기가 계속 변하는 전류가 교류입니다.

    도선에 교류가 흐르면 도선 주위에 생긴 자기장의 방향도 계속적으로 변합니다.

    이 변하는 자기장은 전자기 유도 법칙에 의해 다른 도선에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하나의 도선에 교류를 흐르게 하면 이 도선과 가까이 있는 다른 도선에도 전류가 흐르게 되는것입니다,

    참고 패러데이의 발견 (물리산책, 곽영직)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변압기의 원리는 상대적인 자기장 변화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변압기의 동작 원리를 간략히 설명한 것입니다:

    1. 코일과 자기장: 변압기는 주로 두 개의 코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나는 주로 입력 측면에 위치한 "입력 코일"이고, 다른 하나는 주로 출력 측면에 위치한 "출력 코일"입니다. 코일은 전기를 통과할 수 있는 도체로 감겨 있는데, 이로 인해 자기장이 생성됩니다.

    2. 자기장의 변화: 입력 코일에 전기가 흐를 때, 코일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이 자기장은 입력 코일의 전류 변화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자기장의 변화는 주변에 위치한 출력 코일에도 전도되어 영향을 미칩니다.

    3. 자기장의 인덕턴스: 변화하는 자기장은 출력 코일에 인덕턴스를 유발합니다. 이는 출력 코일에 전류가 흐르도록 유도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전압이 변환됩니다. 입력 코일의 전압과 출력 코일의 턴 비율에 따라 입력 전압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