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재빠른거북이 795
재빠른거북이 795

우주사진을 보면 왜 연기같은게 보이는건지 궁금합니다.

멀리있는 은하를 볼때 굉장히 큰 망원경을 사용해서 보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걸 사진을찍어서 인터넷에 올린것을 보면 거의다 매우 컬러풀하고 특히 뿌옇게 연기같은게 많은 사진이 찍히는것 같은데 왜 은하를 찍을때 물감 풀어놓은것처럼 뿌옇게 연기가 보이는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은하를 찍을 때 뿌옇게 연기가

      보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은하에는 먼지와 가스가

      많이 존재합니다.

      이 먼지와 가스는 별빛을

      산란시켜 뿌옇게 보이게 합니다.

      은하에 있는 별들은

      매우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별빛은 지구에 도달하기까지

      오랜 시간을

      여행하며 흐려집니다.

      망원경은 아무리

      크더라도 빛을 무한대로

      모을 수는 없습니다.

      망원경으로 관측한 은하도

      어느 정도 뿌옇게 보입니다.

      은하 사진에서 보이는 컬러는

      별의 온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별은 온도에 따라 색깔이 다릅니다.

      온도가 높은 별은 푸른색

      온도가 낮은 별은 붉은색을

      띠게 됩니다.

      은하 사진은 망원경으로 관측한 빛을

      카메라로 촬영한 것입니다.

      카메라는 빛의 세기에 따라 센서에

      신호를 기록합니다.

      별의 온도가 높을수록 빛의 세기가

      강하기 때문에 푸른색이

      강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은하 사진에서 보이는

      뿌연 연기는 공간의

      먼지와 가스 별의 거리 망원경의 한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리 있는 은하를 볼 때 큰 망원경을 사용하는 것은 맞습니다. 그리고 이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을 인터넷에 올리면 매우 컬러풀하고 뿌옇게 연기가 보이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은하를 찍을 때 사용하는 필터와 관련이 있습니다.

      우주 사진을 찍을 때 사용하는 필터는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필터는 우주의 다양한 물질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별이 태어나는 곳은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더 많은 물질이 존재하는 곳은 파란색으로 표시됩니다. 이렇게 다양한 색상을 가진 필터를 사용하면 우주의 다양한 물질을 더욱 선명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필터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부작용 중 하나가 바로 연기와 같은 뿌옇게 보이는 현상입니다. 이것은 필터가 우주의 물질을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연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우주의 물질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주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주는 매우 거대하고 복잡한 공간이기 때문에 우주 사진을 찍을 때는 여러 장의 사진을 합성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것도 연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여러 장의 사진을 합성하면서 발생하는 빛의 차이가 연기와 같은 현상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주 사진을 보면 연기와 같은 현상이 보이는 것은 우주의 다양한 물질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터와 여러 장의 사진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우주의 다양한 물질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주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에 우주 사진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줍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빛의 수직 적용: 장시간 노출 사진에서 많은 양의 빛이 카메라 렌즈로 들어오게 되는데, 은하와 같이 광도가 낮은 대상은 상대적으로 약한 빛으로 인식됩니다. 이로 인해 은하가 뿌옇게 보이는 것처럼 연기같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대상의 움직임: 은하는 지구로부터 매우 멀리 떨어져 있으며, 빠른 속도로 우주 공간에서 이동하고 있습니다. 장시간 노출 사진에서는 이러한 운동이 적절히 잡히기 어려워 은하가 뿌옇게 보일 수 있습니다.

      3. 광해도와 대기 조건: 특정 지역에서는 빛 오염이 심하거나, 습도가 높거나, 대기의 미세한 입자가 많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사진에 뿌옇고 연기같은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 사진에서 연기와 비슷한 것을 보이는 것은 주로 우주에서 발생하는 가스나 먼지 등의 입자들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리 떨어진 은하를 찍을 때 물감 풀어놓은 것처럼 뿌옇게 연기가 보이는 이유는 별과 가스, 먼지 등으로 이루어진 은하의 복잡한 구조 때문입니다. 은하에는 수백억 개의 별과 그 주변을 둘러싼 가스와 먼지가 존재합니다. 이들은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망원경으로 은하를 관측할 때, 별과 가스, 먼지의 빛이 서로 겹쳐서 뿌옇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 우주를 관측하게 되면, 천체의 빛은 지구 대기와 관측 기기를 통과하면서 변형됩니다. 빛에 대한 정보가 변형됐기 때문에 사진에서 은하의 모습이 뿌옇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의 사진에서는 천체의 물리량에 대한 확실한 값을 얻을 수 없고 믿을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 왜곡된 정보를 없애는 과정을 거치고, 이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빛 세기의 격차를 크게 만들어 천체의 순수한 빛에 몇 가지 처리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것이 사진들 입니다, 실제 보이는 것과는 다르게 얻어진 정보에 색을 입혀 합성한 사진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