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4

퇴직금 DC/DB/IRP차이점

퇴직금을 항상 3개월 전 금액으로 해서 받았습니다.

이번에 출근한 회사는 퇴직금 운영을 은행 또는 증권사에서 택하면 납부 해준다고 합니다. DC/DB중 선택하라는데 두개의 차이점이 뭔가요? 저는 안전형을 추구하는 스타일 입니다. 주변에서 또 개인연금형 IRP 700만원을 저축하라고 하는데 그게 어떤 도움이 되는 건가요? IRP도 하는게 나은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blue-check
    류경태 경제전문가22.11.24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퇴직연금 제도에 대해서 정확하게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먼저 DB형 / DC형의 퇴직연금제도는 회사에서 가입하는 퇴직연금 제도입니다. 이에 반해서 개인형 IRP제도는 개인이 따로 가입하는 '연금제도'의 일종입니다. IRP에는 기업형IRP제도도 있는데 이 기업형 IRP제도는 직원수 10인 미만의 기업에게 노동청 신고수리절차를 간략하게 하고 가입할 수 있도록 만든 'DC형의 축소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시 돌아와서 DB형과 DC형 퇴직연금 제도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1. 퇴직금 산정 기준

      [DC형 매년 연봉의 1/12을 적립] / [DB형 퇴직 직전의 3개월의 급여를 평균하여 근속연수를 곱하여 퇴직금 산정]

    2. 퇴직연금 운용 주체

      [DC형 직원들이 개인별로 운용상품 선택] / [DB형 회사의 퇴직연금신탁 관리인이 운용상품 선택]

    3. 퇴직연금 운용 수익의 주체

      [DC형 직원들 개개인이 수익을 가져감] / [DB형 수익은 회사 퇴직연금 제도에 귀속]

    4. 중도인출 가능 여부

      [DC형 사유에 따라서 중도인출 가능] / [DB형 중도인출 불가능]

    5. 제도전환 가능 여부

      [DC형에서 DB형 전환은 불가능] / [DB형에서 DC형으로 전환은 가능]

    위의 내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퇴직금 산정기준인데요. DB형을 가입한 근로자와 DC형을 가입한 근로자의 퇴직금차이는 10년을 기준으로 하게 되면 5백만원정도가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퇴직금의 차이는 근속연수가 길어질수록 더욱 벌어지게 됩니다. 즉, DB형을 가입하는게 직원에게 유리하다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개인형 IRP이는 위의 퇴직연금제도와는 별도로 개인이 따로 가입을 하셔서 '세액공제용도'와 '퇴직금 수령용도'를 선택하셔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직장에 재직중이시니 '세액공제용도'로서 개인형 IRP를 가입하셔서 운용하시게 되면 연간 7백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으실 수 있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B형 - 확정급여형으로 퇴직 직전 3개월의 평균 급여와

    근속연수로 산출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안정적입니다.

    DC형 - 확정기여형으로 기업이 매년 한달 가량의 월급을

    운용기관에 적립하여 근로자가 직접 수익을 위하여 운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인형 IRP와 같은 경우 700만원을 납입하면 세액공제혜택이 있는 등 절세혜택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B형과 DC형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퇴직연금입니다. 차이점은 DB형은 회사가, DC형은 근로자 각자가 퇴직연금을 굴린다는 겁니다. DB형은 회사가 운용 손실과 성과를 책임집니다. 근로자는 퇴직할 때 근속 연수, 평균임금에 따라 정해진 만큼 퇴직연금을 가져가게 됩니다. IRP는 연간 700만원(연금저축 포함)까지 세액공제(13.2%~16.5%)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IRP가 법에서 정한 사유가 아니면 중도 인출이 어렵고, 계좌관리 수수료가 연평균 0.3~0.4%가 부과됩니다. 질문자님이 자주 출금하지 않으신다면 IRP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