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 물가가 올라가는 이유가 뭔가요??
예전에는 크게 못느꼈던것 같은데
최근들어서 물가가 올라가는 주기가 계속해서 짧아지고 있는것같습니다.
도대체 왜이런것인가요??
세계 경제가 안좋아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우리나라가 정책적으로 문제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우리나라 정책적으로 '성장정책' 즉, 꾸준히 돈을 풀어서라도 GDP 성장을 꾀하겠다는 것으로 인해 계속 오르는 것이며, 물가를 장기적으로 희생해서라도 GDP 성장은 이뤄야겠다 라는 정책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징의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지속적으로 올라가는 이유는 여러 나라에서 이상기후로 인한 과일 재배 등에 문제가 생겨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많은 농수산품들을 수입에 의존한 우리나라의 경우, 유가 상승도 물가 상승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계속해서 물가가 상승하는 이유는 환율의 상승으로 인해서 수입원자재 가격 및 수입제품들의 가격이 인상되었기 때문이에요. 이는 우리나라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인상하지 않았기 때문에 달러환율이 상승하며서 발생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원자재 가격 상승
석유, 곡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은 생산 비용을 높여 제품 가격에 영향을 줍니다.
2. 환율 변동
원화 가치 하락 시 수입 원자재 및 제품 가격이 오르면서 물가를 자극합니다.
3. 수요 증가
경기 호황 등으로 수요가 늘어나면 공급 부족에 따라 가격이 상승합니다.
4. 인건비 상승
임금 인상은 기업의 제품 원가를 높이는 요인이 됩니다.
5. 정부 정책
조세, 공공요금 인상 등 정부 정책도 물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팬데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 교란, 원자재 가격 급등 등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시장 경쟁 촉진, 물가 안정 정책, 금리인상 등 정부의 대응으로 완화될 수 있지만, 근본 원인 해소가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자본주의에서 통화의 양이 늘어날 수 밖에 없고
더불어서 공급망 이슈 등 여러가지로 인하여 물가가
올라간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물가가 자꾸 오르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론, 수요와 공급에 불균형이 있고 기후의 이상 등으로 인함도
물가 인상의 한 이유이며
동시에 화폐의 가치 역시 계속 떨어지고 있는 것도 하나의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