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행복하게살아요
행복하게살아요

보통 장기 투자라고 하면 얼마 정도의 투자를 말하는 걸까요?

요즘 주식이나 코인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사람들의 성향에 따라서 위험성을 감수하면서 공격적인 투자를 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에 안전한 채권이나 상대적으로 위험이 적은 펀드들에 투자를 하고 있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한 어떤 사람들은 하루 이틀정도 오르기만 하면 바로 환매하는 사람도 있고 아니면 아주 오랜 기간 동안 주식 등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도 많은데요.

일반적으로 장기 투자라고 하면 얼마 정도 기간을 가지고 투자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며 장기 투자의 장단점에 대해서도 알고 싶습니다.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람마다 모두 기준은 다르겠지만 개인적으로 장기투자라고 한다면 10년 이상은 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장기투자와 같은 경우에는 큰 수익을 누릴 가능성도 크지만 말 그대로 단점으로는 잘못된 투자군을 선정하였다면

    손실이 극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기간으로 따지기가 좀 그런데 저는 한 10년정도이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장기투자는 회사의 이익이 성장하고 이 단계를 거쳐 성숙기 까지 갔을 때 이제는 성장성이 떨어져서 주가가 예전만큼 오르기 쉽지 않다고 생각될때 파는 것입니다.

    그러니 해당 회사가 계속 성장 잘해서 20년 30년투자할 수도 있고요, 생애가 짧아서 5년정도로 끝날 수도 있습니다. 근데 이렇지 않고 봤을때는 최소 거시적인 경기 사이클 한번은 가지고 있는게 장기투자아닌가 싶어요.

    꼭 그런건 아니지만 대략 10년정도에 경기호황과 불황을 다겪는 시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내가 투자하는 회사가 경기가 좋을때 안좋을때 다시 좋을때까지 투자를 지속해서 큰 결실을 거두는게 장기투자가 아닌가 싶습니다.

    장점은 결국 회사본질가치가 성장함에 따라 그만큼 수익을 거둔 다는 것입니다. 주가는 단기간에는 본질가치와 상관없이 많이 오를때도 있고 내릴 때도 있습니다. 근데 결국 그 회사의 매출과 이익에 어느정도 맞게 주가가 찾아갑니다. 시장은 장기적으로는 바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단점은 길게 투자하다보면 긴 기간 계속 되는 변동성을 견뎌야 한다는 건데요. 내가 투자하고 2배올랐다가 3년뒤에 오히려 마이너스가 될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때 회사의 본질가치를 계속 모니터링하지 않고 잘모른다면 실망하고 팔고 나올 수도 있습니다.

    이런 유명한 짤도 있지않습니까.

    지금도 테슬라만해도 몇년전 투자자보다 신규로 들어온 투자자들 평단가가 더 낮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정말 사람에 따라 견디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근데 만약 성공한다면 그 어려웠던 만큼 결실을 클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장기 투자의 기간에 대해서 명확하게 합의된 사항은 없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3년에서 5년 이상은 투자를 할 때 장기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장기 투자의 장점은 일단 지순아 우량주를 매수한 경우에는 올해 보유하고 있을수록 손실 볼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것은 기억은 안 나지만 어딘가 자료에서 10년 이상 투자할 때 손해볼 확률이 매우 낮고 20년 이상 투자할 때 손해 볼 확률이 0 프로였다는 통계를 본 적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장기 투자의 단점은 자금이 오랫동안 묶인다는 점이 있고 또 다른 점으로는장기 투자의 장점은 일단 지순아 우량주를 매수한 경우에는 올해 보유하고 있을수록 손실 볼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것은 기억은 안 나지만 어딘가 자료에서 10년 이상 투자할 때 손해볼 확률이 매우 낮고 20년 이상 투자할 때 손해 볼 확률이 0 프로였다는 통계를 본 적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장기 투자의 단점은 자금이 오랫동안 묶인다는 점이 있고 또 다른 점으로는 큰손실도 감수할 수 있는 성격이 있어야 된다는 것입니다

  • 장기 투자는 사람마다 느끼는 기간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5년 이상의 기간을 가지고 투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장기 투자의 장점은 시장 변동성에 대한 영향을 상쇄할 수 있고, 복리 이자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단점은 투자금액에 대한 유동성이 제한될 수 있고, 시장 변동성에 따른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보통 단기는 1년 이내

    중기는 5년 이내

    5년 이상을 장기투자라고 부르곤 합니다.

    다만, 원론적 기준일 뿐이고 본인의 성향과 해당 주식의 섹터 등을 고려하여 이 기준은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장기투자의 장점이라고 하면 좋은 기업이라는 가정 하에 보다 안정적으로 수익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과 잦은 매매수수료 발생을 막을 수 있다는 점 등이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