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인자한무희새85
인자한무희새85

주식에 매달 100만원씩 넣었을 때, 이율 발생시 이게 복리인가요 단리인가요?

멍청한 질물같아 보이긴 하는데,
주식 투자시 한번도 안빼고 월마다 꾸준하게 100만원씩 넣는다고 했을 때

이게 단리 계산이되는건가요 복리 계산이 되는건가요?
고수분들 도와주세요 ㅠ.ㅠ흑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성실한보석새105
      성실한보석새105

      안녕하세요 새이예입니다

      단리랑 복리의 개념은 아시고 계실거라 생각하지만 정리차원에서 간단히 말씀드리려고 합니당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는 개념이고

      복리는 원금+이자에 또 이자가 붙어서 이자에 이자가 붙는 개념입니다.

      주식 어플을 보시면 원금에 대해서만 수익이 나는걸 보실 수 있을겁니다

      그러면 단리라는 답이 나오겠죠 ?

    • 일단 복리의 개념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복리란 이자에 이자가 붙는것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주식에서 복리가 있냐 없냐는 계속 사람들끼리 싸우는 주제로 많이 토론되고 있습니다.

      월마다 100만원씩 주식에 투자를 하면 하루에 1프로가 오르고 그다음날에 또 프로가 오른다고 해도 복리로 치진 않는다는 말이 많습니다. 다만, 주식은 배당금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배당금이 나오고 그 배당금의 금액을 다시 주식으로 재투자 할때는 복리가 맞습니다.

    • 주식계좌는 일반은행계좌와 차이가 좀 있는데 증권사 계좌는 이자가 붙지 않는 걍 지갑이라고 생각하시면되요. 이후 주식이나펀드,etf,채귄등 어떤부분으로 투자를 해야 이익혹은 손해가 나는거죠. 단리와 복리는 내가 그 회사에 돈을 맏기고 운용을 하는 주체가 어떤가에 따라 다르겠죠. 은행들은 단리, 보험사는 복리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