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건강한갈매기154
건강한갈매기154

유동성 파티가 끝났다는 기사가 많습니다. 유동성 감소가 연착륙 할까요?

유동성 감소로 인한 경기침체가 예상되고 있는데요.

이미 줄어들었다고 봐야하나요? 아니면 지금 줄어드는 과도기라고 봐도 될까요? 마냥 소비를 줄여나가야 할까요. 어찌 대응하는것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유동성 감소는 시작된 것으로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유동성 감소를 체감할 수 있는 것은 최근의 기사를 보시면 대기업들의 재고자산이 작년 연말 대비하여 60%이상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물건이 작년보다 최소한 40%이상 적게 팔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소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유동성이 감소하고 있다는 표시로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유동성을 줄이는 것이 아직 끝난 것은 아니고 지금도 줄여가고 있습니다.

      몇년 동안 계속해서 풀어왔던 유동성으로 인해 그 후유증으로 자산가격들이 폭등하고 물가가 많이 오르게 되었죠.

      이에 금리도 올리고 양적긴축에 들어간 것입니다.

      투자가 아닌 개인 일상생활에서라면 부채를 줄이고 지출을 줄이며 저축을 늘려야 하는 시기입니다.

      기업 입장에서도 구조조정 및 경비 삭감, 부채감소 등에 힘써야 할 시기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도 유동성 감소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앞으로 유동성을 감소하기 위한 금리인상 등이 예정되어 있는 등

      앞으로 보다 보수적인 시각에서 투자를 진행하시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나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