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멋부린가젤71
멋부린가젤71

공기가 없으면 왜 끓는점이 낮아지나요?

진공상태를 만들게 되면 끓는점이 원래 기압보다 낮아진다고 하던데요.

기압이 어떻게 끓는점을 결정하는 건가요? 어떤 원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끓는 다는 것은 액체의 표면과 내부에서 모두 기화가 발생하여 기포가 올라오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외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물 속에서의 기화가 어려워 지기 때문에 끓는 점이 더 높아지게 됩니다. 물은 1기압에서 100도에서 끓지만 2기압이 되면 20도가 더 올라야 끓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공기가 감소해서 기압이 내려가면 물의 기화가 더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더 낮은 온도에서 끓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끓는점에 도달한다는것은

      액체상태에서 열의 형태로 에너지를 가하여

      기체상태로 팽창시키는 것인데요

      기압이 없어지면 기체상태로 더 쉽게 팽창할 수 있기때문에

      끓는점이 낮아지는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압을 다르게 말하면, 물의 수면을 내리 누르는 힘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을 끓이면 분자의 운동이 빨라지는데, 기압이 낮으면 분자 간의 결속력이 줄어서

      쉽게 끓게 되고, 기압이 높아지면 결속력이 높아져 끓는 온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기압이 낮으면 빨리 끓고, 기압이 높으면 느리게 끓는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진공인 상태라면 이는 0기압이므로, 물은 매우 빠르게 끓게 되겠죠.

    • 기압이 낮아지면 끓는점이 낮아지는 이유는 물이 끓기위해 방해하는 기체가 없기 때문입니다.

      기압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기체의 압력인데,

      액체에 있는 물 분자에도 압력이 가해집니다.

      그러니 기압이 낮아지면 액체에 있는 물이 좀더 쉽게 기체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