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어쩌라구요
어쩌라구요

사람마다 고유의 향이 존재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세나나오입니다.

화장품에서 나오는 향이 다 다르듯 사람들도 사람들마다 인체에서 나는 향이 다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간의 피부에는 주로 두 가지 유형의 땀샘인 에크린(Eccrine) 땀샘과 아포크린(Apocrine) 땀샘이 존재합니다. 에크린 땀샘은 전신에 걸쳐 분포하며 주로 물과 염분을 배출하여 체온을 조절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 땀은 자체적인 냄새가 거의 없습니다. 반면, 아포크린 땀샘은 주로 겨드랑이, 사타구니, 유방 등 특정 부위에 위치하며, 이 땀샘에서 분비되는 물질은 피부 상의 박테리아와 반응하여 독특한 체취를 발생시킵니다. 피부에 서식하는 박테리아는 아포크린 땀샘에서 분비된 유기 화합물을 분해하여 휘발성 화합물을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화합물이 체취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각 개인의 피부 미생물 군집구조(Microbial flora)는 다양하므로, 이로 인해 개인별로 고유한 체취가 형성됩니다.

    1명 평가
  • 네, 사람마다 고유의 향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는 개인의 체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땀샘의 종류나 분비되는 물질의 구성이 유전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고유한 향을 가질 수 있는 것이죠. 또한 피부에 서식하는 세균의 종류와 수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들이 분해하는 물질과 생성하는 물질이 달라 체취에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먹는 음식에 따라 땀이나 몸에서 배출되는 물질의 냄새가 달라질 수 있고 호르몬 변화는 땀샘의 활동을 변화시켜 체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네, 사람마다 고유의 '체취'가 있으며, 체취는 대부분 신진대사 과정에서 노폐물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몸 속 성분이나 피부 표면에 있는 성분 중 기체로 변하기 쉬운 성분이 피부 가스가 되어 밖으로 나와 체취가 되는 것인데요, 다양한 성분이 조합되어 특유의 냄새를 가지게 되는데 이 냄새가 사람마다 다른 체취가 되는 것입니다. 이때 피부 가스가 몸 밖으로 나오는 것은 표면 반응에 의한 것인데요, 피부 표면에서 분비된 땀, 피지의 성분이 피부 표면에 있는 상재균에 의해 산화되어 배출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네, 인체에서 나는 향도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인체에서 나는 향은 대개 개인의 유전자, 식습관, 건강상태, 환경 요인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다른 사람들은 각자의 체취나 냄새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식습관, 건강 상태, 미생물 균형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네, 사람마다 고유한 체취가 존재합니다. 이는 유전적 요인, 식습관, 생활 환경, 호르몬 상태, 피부 세균 등 다양한 요소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형성됩니다. 특히 각 개인의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HC) 유전자가 체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각 사람마다 독특한 '냄새 지문'이 생기며, 이는 때로 개들이나 고도로 훈련된 사람들에 의해 구별될 수 있을 정도로 특징적입니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이러한 고유한 체취는 대개 사용하는 향수, 비누, 샴푸 등의 인공적인 향으로 가려지거나 변형되어 나타나곤 합니다. 결론적으로, 모든 사람은 자신만의 고유한 체취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일상에서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