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인 고물가 시대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인 문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지속적인 고물가 시대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인 문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소득 격차, 빈곤 문제, 인플레이션 부작용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인 이슈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소재남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속적인 고물가는 여러 경제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돈의 가치가 하락하므로 일반근로자, 연금생활자의 생활이 어려워집니다.
기업입장에서는 고금리로 차입이 어려워져 투자를 위축시키고 국가의 경제성장에도 악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물가로 인하여 서민들의 구매력이 계속하여
떨어질 수도 있고 대출이자 등의 부담이 커짐에 따라서
구매력이 떨어져 경제 전반에 기업들의 판매까지도
위축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속적인 고물가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심화시키게 됩니다.
또한, 채권자보다 채무자에게 유리한 상황이 되며, 돈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빈곤 악순환을 초래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물가 시대가 지속되는 경우는 실질임금이 매우 낮아진 상황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는 곧 소비의 침체를 불러올 수 밖에 없어요. 그럼 정부는 고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고금리 기조를 유지하게 되면서 국민들은 고인플레이션, 고금리로 인해서 소비침체와 이로 인한 경제 성장률의 둔화로 이어지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만들어지게 되요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물가로 인해서 발생하는 경제현상들에 대해 문의를 하셨습니다.
일반적으로 고물가가 지속되면 가계의 실직소득이 감소하게 됩니다. 평소에 100의 소득에서 40을 생활비로 사용했다면, 물가가 상승함에 따라 100의 소득에서 50~60을 생활비로 사용해야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저축 뿐만 아니라 시장의 유동성 또한 감소하게 되며, 실질적인 구매력을 하락으로 기업들의 매출 등이 감소하게 됩니다.
기업의 매출 감소는 인건비 감축이나 판매가격 상승 등으로 나타날 수 있겠고, 이렇게 된다면 경제의 악순환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물가상승 > 실질소득 감소 > 구매력 감소 > 기업매출 감소 > 판매가격 상승, 인건비 감축 > 실질소득 감소)
이러한 악순환은 국내외 전반적인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인상하면서까지 물가를 잡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이러한 악순환을 끊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속적으로 고물가 시대가 되면 말씀하신대로 소득격차가 심해지게 되고, 인플레이션이 지속화 됨으로 인하여 금리 상승을 불러일으키고, 경기가 둔화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학에서는 고물가는 일반적으로 안좋은 현상으로 봅니다. 시중에 나와있는 모든 경제학 교재를 펼쳐보시면 하나 같이 인플레이션은 좋지 않은 것으로 이를 막는 방법에 대해서 주로 서술되어있습니다. 1930년대에 경제대공황을 겪고 난 이후에는 2000년대까지는 계속해서 주요 선진국에서는 높은 인플레이션이 문제였기 때문입니다.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경제학자들이 그럼 어느 정도의 인플레이션을 고물가로 보느냐하면 경제학자들은 경제가 장기적으로 성장해나가면서 경제규모가 커지고 이에 따라 통화량은 늘어나기에 화폐가치가 하락하며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필연적이므로 자연스러운 인플레이션율 수준을 2~3%대라고 봅니다. 물가안정을 담당하는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도 물가안정목표제라는 준칙에서 목표인플레이션율을 2%로 설정해두고 있습니다. 즉 이보다 높은 것이 고물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물가, 즉 인플레이션의 부작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경제 흐름이 부정적 순환 발생
-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화폐 가치 하락 > 소비 심리 위축 > 소비 감소 > 기업 생산 감소 > 기업 수익 감소 > 일자리 감소
2. 부의 분배 왜곡
- 인플레이션이 지속 예상 > 기업투자보다 부동산, 금 등 선호 > 특정 자산으로 쏠림 현상 발생 > 부의 분배 왜곡
3. 기업의 금융비용 증가에 따른 투자 위축
- 인플레이션이 지속 > 금리가 상승 > 기업의 금융 비용 증가 > 투자 위축
그 동안 저금리와 세계의 공장 중국 덕분에 저물가 시대에 살아왔습니다
고금리 시대가 뉴노멀이라고 주장하는 전문가도 있습니다
금리 및 세계 경제 추이를 지켜보아야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