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실외기를 밖으로 빼지않고 베란다
에어컨 실외기를 밖으로 빼지않고 베란다 안에 두고
가동을 하면 화재 위험있다고 하는데 일부 아파트에서
외관상 보기에 좋지않다고 빼지못하게 한다고 하는데
이게 맞나요?
실외기는 외부에 설치를 하여 비를 맞더라도 이상이 없도록 설계가 되었지요.
또 열을 배출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여름에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장난이 아닙니다.
그런데 그런 실외기를 베란다에 설치를 한다면 실외기를 운용하는 동안 베란다 문을개방하여 공기 순환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공냉식으로 실외기에서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다분하죠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주택의 건설기준, 부대시설ㆍ복리시설의 범위ㆍ설치기준을 정하고 있는데, 같은 규정이 2006. 1. 6. 대통령령 제19263호로 일부개정되면서 제37조제4항에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는 발코니 등 세대 안에 냉방설비의 배기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하는 규정이 신설되었고, 같은 규정 부칙 제2조에서 이 영 시행 당시 「주택법」 제16조의 규정에 의해 사업계획의 승인을 얻었거나 사업계획의 승인을 신청한 주택에 관하여는 종전의 규정에 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제21조제3항에서는 사업주체는 같은 조 제1항의 주택건설기준등에 따라 주택건설사업 또는 대지조성사업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외기를 실내에 설치하면 냉매의 열교환 과정에서 효율이 저하되거나, 과열에 의한 화재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실외기는 설계상 열의 배출과 교환이 원활한 외부에 두는 것이 좋은 방법이지만, 실내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라면 루버 등을 통해서 실외기에서 배출되는 열을 외기로 배출하여 과열되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실외기를 요즘은 내부에 두는 경우가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외관상 보기도 그렇지만 보통은 관리를 하기 어렵기때문에 그런것도 있습니다.
만약 실내에 둔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창문을 열어서 바깥공기가 들어오게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화재위험도 있고 냉방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라면은 너구리입니다,에어컨 실외기를내부에 설치하면 내부온도로 인해 에어컨을 돌려도시원하지 않습니다.밖에다가 설치하는것이 맞습니다.신축아파트는 별도구역이 있구요.예전아파트는 거치대 설치해서 설치하는것이 좋습니다.
맞습니다. 에어컨 실외기를 베란다에 두고 가동하면 환기 부족으로 과열되어 화재 위험이 생길수 있습니다. 환풍기를 서리하거나 실외기 전용 덮개 등을 사용해 열기 배출을 유도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