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추천 좋아요 감사합니다!!
추천 좋아요 감사합니다!!

전자레인지에 금속을 넣으면 안되는 이유

어릴 때 집에서 3분 카레를 데워먹으려고 봉지째 전자레인지에 넣었다가 스파크가 튀겨서 빨리 껐는데 왜 전자레인지에 금속을 넣으면 스파크가 튀는 건가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레인지에 금속이 들어가게 되면 다 전자파를 다 반사해 버립니다. 전자파가 사방으로 튀고 충돌해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겉보기에는 단단하고 딱딱하기만한 금속도 사실 자유롭게 돌아 다니고 있는 전자로 가득합니다. 전기가 잘 전도되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 다만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파가 금속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는 금속의 두께와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두껍고 평평한 전자레인지의 벽은 마이크로파가 부딪쳤을 때 금속 내 전자가 앞뒤로 진동하지만, 마이크로파는 그저 반사됩니다. 반면 금속 물질이 알루미늄 호일처럼 얇은 경우는 내부에서 진동하는 전자의 움직임에 버티지 못하고 매우 빨리 가열되어 버립니다. 그리고 순식간에 발화되고 마는 것이죠.

    포크나 숫가락 등이 전자레인지 고장의 원인이 되는 이유도 금속과 마이크로파의 영향입니다. 주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포크나 숟가락, 알루미늄 호일 같은 대부분의 금속 물질은 곡선이나 모서리를 많이 가지고 있는 편입니다. 그런데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파는 금속물질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되어 버리는데, 이때 금속의 곡선 부분이나 모서리에 반사된 마이크로파는 그대로 고농도의 전계를 형성하고 맙니다. 이렇게 되면 물질 주위의 공기가 이온화되며 큰 파열음을 발생시키죠. 뿐만 아니라 근처에 있는 금속 물질을 향해 강렬한 아크 방전(Electric arc)이 발생되는데, 그 결과 전자레인지가 고장나고 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레인지에 금속을 넣으면 안되는 이유는 금속이 전자파를 반사시키기 때문입니다.

    전자레인지는 전자기파를 이용해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가열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하지만 금속은 전자기파를 흡수하지 않고 반사시키기 때문에 말씀하신대로 불꽃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불꽃이 자칫 화재로 이어지거나, 전자레인지를 망가트릴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레인지에 금속성 물질을 넣었을 때 스파크가 튀는 현상은 전자의 움직임으로 발생합니다.


    전자레인지에서 나오는 마이크로파는 일종의 전자기파로(더욱더 간단하게 말하자면 빛), 금속에 닿을 경우, 해당 금속에 흡수되어 자유전자들을 진동시킵니다.(여기서 말하는 자유전자 덕분에 금속은 도선의 재료로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유 전자 덕분에 전류가 흐를 수 있어서 말이죠.)


    그럼 아주 국소적이나마 전류가 형성이 되는데, 이로 인해서 열이 발생합니다.



    전류로 열이 발생하는 현상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물을 끓이는 전기포트나 전기장판이 이에 해당합니다.



    알루미늄 호일이 얇은 박막으로 된 녀석인 관계로 불꽃이 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반대로 매우 두꺼운 철덩어리(모양이 울퉁불퉁하지 않은)를 쓴다면 이야기가 조금 달라지는데요.


    금속이 두꺼우면 전기저항이 낮아져 전류가 흘러도 열이 적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생겨난 열도 금방 금속 전체로 전달되어 식을 수 있습니다.



    앞서 말했다시피 호일은 매우 얇은 관계로, 저항이 높은데다가 달궈진 부분의 열을 전체로 퍼트리기도 전에 온도가 높게 치솟습니다. 게다가 쿠킹호일이 우그러져 있어 모양이 울퉁불퉁하면 국소적으로 한쪽에 전자가 치우치게 됩니다. 일종의 + 전극과 -전극이 형성되며, 한계를 넘어서 대전될 경우 아크 방전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금속재질 포크나 숟가락도 전자레인지에 넣어선 안되는 이유기도 하죠.)



    자연에서도 비슷한 방전 현상을 볼 수 있는데, 그 현상을 우리들은 '번개친다'고 하죠.



    쿠킹호일에 전류가 흐르든 아크 방전이 터지든, 고열을 동반하므로 상당히 위험하며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라고 불리는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합니다. 금속은 전기를 잘 전도하고 반사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전자기파에 의해 금속이 강한 유도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금속이 과열되고 불이 나거나 전자기파를 방출하여 화재나 기계적인 고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전자레인지에 금속을 넣으면 스파크가 튀는 이유는 전자레인지의 작동 원리 때문입니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라는 고주파 전자파를 발생시켜 음식물을 가열합니다. 그러나 금속은 전기를 잘 전도하고, 전자파를 반사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금속이 전자파를 반사하면 전자파의 에너지가 모이게 되고, 이로 인해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파크는 금속과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불안정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을 전자레인지에 넣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따라서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때는 금속이나 금속이 포함된 용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레인지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데, 전자파는 금속에도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기 때문에 금속을 전자레인지에 넣게 되면 전자파가 금속에 반사되어 전자파가 모여 스파크가 생기게 됩니다.

    스파크가 생겨 화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레인지 내부에는 금속이 들어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때는 금속이 들어있지 않은 그릇이나 용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렌지는 마이크로파를 통해서 음식의 물 분자를 진동시켜서 열을 발생시켜 음식을 뎁히는 원리인데요. 이때 호일같은 얇은 금속을 넣으면 마이크로파에 의해서 내부 전자가 진동되면서 전자의 움직을 버티지 못하고 매우 빨리 가열되면서 불꽃 스파크가 발생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많이 질문하는 게 음식물을 덮어놓은 알루미늄 호일 같은 거 그냥 넣으면 안되냐는 거다.

    마이크로파는 금속을 뚫고 들어가지 못한다. 음식물 데우듯이 안으로 들어가지를 못한다. 그래서 표면에서 지랄발광을 하게된다. 특히 이게 뾰족한데 모이게 되면 문제가 커진다. 한쪽으로 쏠리게 되고 그러다가 못 견디면 빵하고 터진다. 터질 때 나타나는 게 스파크가 되는 것이다.

    자, 그럼 여기서 머리가 회전이 빠른 당신은 이런 생각을 할 것이다. 숟가락과 포크는? 하나는 둥글둥글하고, 하나는 끝이 뾰족한데?

    맞다, 포크 쪽이 뾰족하기에 스파크가 쉽게 튄다. 궁금하다면 시험할 방법을 하나 알려주겠다. 소세지 한쪽 끝을 뾰족하게 잘라넣고 돌려보다. 제법 높은 확율로 스파크를 볼 수 있다고 한다.

    스파크 정도 튀는 게 무슨 문제가 되냐고? 한번씩 충전 케이블 떼낼 때로 생기는데?

    작은 스파크라면 번쩍거리고 말겠지만 스파크가 돌아가는 동안 계속 생기고, 재수 없으면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스파크가 전기 에너지의 방출이기 때문에 전자 레인지를 망가트릴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