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음악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오폐라의 본고장은 어디인가요?

우리나라에 세계적인 유명한 오폐라가수 조수미씨가 있습니다 유럽에서 활동중인것 같은데 오폐라는 어느나라에서 시작되었으며 본고장은 어디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오페라는 노래를 부르면서 스토리가 이어지도록 작업을 한 연극을 말합니다 . 오페라(opera)라는 단어는 이탈리아어로 "작품"이라는 뜻이며, 같은 뜻의 라틴어 opus에서 왔다. 16세기 말 이탈리아에서 탄생했고 고전음악에 근거를 두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페라는 16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발상지는 피렌체로 간주됩니다. 첫 번째 오페라인 "다프네"는 작곡가 야코포 페리가 작곡했으며 1597년 피렌체에서 공연되었습니다. 오페라는 이탈리아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었고 곧 유럽 전역으로 퍼져 서양 고전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음악 및 연극 표현 형식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

    • 안녕하세요. 김진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페라의 어원입니다.

      오페라는 이탈리아 말로서 어원은 opera in musica(음악으로 된 작품)이다. 오페라는 연극과 음악을 결부시킨 것으로서 부분적이거나 전체적이거나 간에 노래와 오케스트라를 수반한 여러 가지 표현 형태 전체를 가리킨다. 작품의 줄거리의 성격, 구성이나 대본의 장르, 시대나 나라의 차이에 따라 여러 명칭으로 불리운다. 그러나 Opera in musica의 약칭인 오페라라는 단어는 징슈필, 서정 비극, 오페라 코미크, 오페라 부파. 오페라 세리아 등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25000개 이상이나 되는 작품(그 가운데 반수 정도가 이탈리아어로 되어 있다)을 통한 형식의 변천을 더듬어 보자면 그 변천 자체와 음악 서법의 변천을 구별하여 살펴보는 것이 편리하다. 이 두 가지 변천의 상호간의 영향은 결정적일 수도 있고 때로는 없을 수도 있다.

      오폐라의 역사는

      16세기말경 이탈리아 피렌체의 음악애호가 바르디(G. Bardi, 1534∼1562)의 집에 젊은 음악가와 시인들이 모여 새로운 음악을 연구했는데 이 집단을 카메라타(Camerata)라고 불렀다. 1597년에 시인 리눗치니(O. Rinuccini, 1563∼1623)의 대본에 페리(J. Peri, 1561∼1633)가 오페라《다프네(Dafne)》를 작곡하였다. 두 번째 작품도 리눗치니 시(詩)에 페리와 카치니가 작곡한 《에우리디체(Euridece)》를 1600년에 상연했는데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에우리디체 뿐이다. 그런데 근대적 개념의 오페라에 접근되는 진보적인 오페라를 만든 사람은 몬테베르디(C. Monteverdi, 1567∼1643)이다. 그는 1607년 《오르페오(La Favola d' Orfeo)》를 상연하였는데 대규모의 합창과 관현악, 무용 등이 한데 어울려 이전의 오페라라는 표현양식에서 비교가 되지 않았으며. 기악의 서주로 시작하였고 댄스음악이 있고 신포니아라고 하는 기악곡이 사이에 포함되었다. 그리고 스카를라티(A. Scarlatti, 1660∼1725)를 중심으로 한 나폴리악파가 생겼으며 프랑스에서는 륄리(J. Baptiste Lully, 1632∼1686)를 중심으로 프랑스 오페라가 생겼으며, 영국과 독일에서도 오페라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되었다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다고 볼수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