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정도의 금액을 안전하게 투자하는 방법
주로 주식만 하다가 자산배분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는게 안정적이면서 물가상승률에 뒤지지않고 투자금을 불릴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위험을 분산하는 자산 배분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포트폴리오를 초안전자산(CMA/파킹 통장)에 10% 정도는 항상 준비해두어 투자 기회가 생겼을 때 즉시 투입할 수 있도록 유동성 확보를 추천드립니다. 안정 자산(채권/금)에 30% 정도 추천합니다. 채권은 금리 인하 사이클이 예상될 때 채권 가격이 상승하는 특성을 활용합니다. 주식 시장과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낮춰줍니다. 금은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나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질 때 안전 자산으로서 가치 보존 역할을 합니다. 물가 방어 자산인 리츠에도 소액 투자하여 실물 부동산의 임대 수익을 배당으로 받기 때문에 물가 상승으로 임대료가 오르면 수익도 증가하여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인덱스 ETF주식등에 넣어 개별 종목 투자 보다 위험성을 낮추고 장기적으로는 주식이 모든 자산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다는 점에 기대어 인플레이션을 압도하는 수익을 추구합니다. 중요한 점은 1억원을 한번에 투자하기보다는 시장 상황을 보며 3~6개월에 걸쳐 나누어 매수하는 것이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1억 정도의 금액을 안전하게 투자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식으로 하시면 원금 손실을 감수해야 합니다.
안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외 자산배분을 고민하신다면, ISA 계좌를 활용해서 ETF 투자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S&P 500 같은 시장지수형 ETF는 넓은 시장에 투자하여 개별 종목 위험을 줄이고 장기적으로 물가 상승률을 뛰어넘는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금 투자도 인플레이션에 대비하는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자금을 안정적으로 투자하려면 주식, 채권, 부동산, 대체투자 등을 혼합한 분산투자 전략으로 위험을 줄이면서도 인플레이션을 상회하는 수익률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인플레이션 헷지용으로는 금, 원자재 등이 있으며, 성장 잠재력이 있는 주식과 안정적 이자 수익의 채권을 적절히 배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12개월 동안 점진적으로 투자하면서 시장 흐름을 지켜보고,
6개월마다 리밸런싱하면 연 4~5% 수익을 추구하는 방법입니다.
첫 자산배분은 목표 비중의 절반 정도로 시작해 심리적 안정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자는 개인의 위험 감수 성향에 따라 달라지므로,
자신의 상황에 맞게 비율을 조정하되 최소 3가지 이상 자산에 분산하는 법을 좋을듯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안정성과 물가 방어를 함게 보려면 예금, 채권, 배당 ETF 등으로 5:3:2정도의 분산이 일반적입니다.
초저위험은 예금, MMF, 중위험은 국채, 회사채 ETF, 인플레이션 방어는 배당, 리츠가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만 하시지말고 안전자산에도 조금 비중을 두시면 좋습니다
저라면 3은 안전자산이 달러나 금에 투자하고
주식 7중에 4는 고배당주에 투자할거같아요 그러면 배당도 쏠쏠하고 그렇게 크게 떨어지지도않습니다
배당주는 특히 연초에 많이 떨어지기때문에 연초에 사시는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그리고 나머지 7중에 3은 유망사업에 투자하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