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실러 Shiller P/E 비율이 무엇인가요?

현재 주가가 비싼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지표 중에

실러 P/E비율 Shiller P/E ratio가 있다고 하는데

과연 이게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존의 P/E 비율은 회사의 주가를 12개월 후, 주당순이익으로 나누나

    Shiller P/E 비율은 지난 10년 동안의 인플레이션 조정이익을 고려하여

    게산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CAPE, Cyclically-Adjusted Price Earnings Ratio)이란 노벨경제학상(2013년)을 수상한 로버트 실러(Robert Shiller) 예일대 교수가 주식시장의 가치 평가를 위해 창안한 것으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와 주당 순이익 10년 평균값으로 산출한 주가수익비율이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러 Shiller P/E 비율은 주식시장에서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로, 주가를 기업의 실제 이익 대비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를 판단하는 지표를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해당지표는 2013년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실러 교수가 개발한 지표로서 물가를 반영하는 S&P500지수와 주당순이익 10년치의 평균값으로 산출하게 됩니다. 이는 CAPE비율이라고도 하는데 주가가 지난 10년동안 평균 EPS의 몇 배였는지를 나타내고 CAPE가 높을수록 주식시장이 현재 과열되었다는 것을 반대로 CAPE가 낮을수록 주식시장이 저평가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가가 지난 10년간 평균 주당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배수가 높을수록 주식이 고평가됐다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을 말하고 주가가 지난 10년 동안 평균 주당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배수로 나타내는데 높을수록 주식이 ‘고평가’됐다, 즉 ‘거품이 많이 꼈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