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부터 교과전담제가 있던데 이게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요?
아이가 집에 오면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는데 교과전담선생님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교과전다선생님과는 거의 추억이 없는건가 하는 생각이 드는데 전담선생님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1992년 초등학교 교과전담제 도입 당시 교육부는 생활지도 및 전 교과목의 학습지도를 담당하는 학습
담임교사와 달리 특정 교과 수업만을 전달하는 교사의 제도를 마련 했습니다.
이러한 제도가 도입 된 것은 특정교과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함과 아울러 고학년 담임교사들의 수업시수를
경감하기 위한 현실적이고 기능적인 부분이 이유가 되겠습니다.
우선은 교과만 담당하는 전담 선생님과 그 수업 시간 에만 볼 수 있고, 그 이외의 시간을 함께 하는 것의 대한 부분이
부족함이 크지만, 그래도 아이와 수업의 상호작용의 질을 높아지고 향상 되어질 수 있다 라는 장점이 있겠습니다.
초등학교의 교과담임제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교과 전문성 향상, 다양한 교사와의 상호작용, 담임교사의 업무 경감, 수행 중심 교과의 효과적 지도 등이
긍정적인 영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부정적인 영향을 살펴보면
교사 간 연계 부족, 소속감 저하, 생활지도의 공백, 수업의 단절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교사 간 협력 체계 구축, 전담교사의 생활지도 참여, 학생 중심 수업 운영, 정기적인 피드백 제공 등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모든선생님이 아이와 교류는 아이의 성향이나 학습등 다양한 부분에 따라서다를수있어요
꼭 교과전담선생님뿐만아니라 다른선생님도 아이가 하기나름의 영향을줄겁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3학년부터 시행되는 교과전담제는 전문성과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되었지만 전담선생님과의 정서적 유대는 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업 전문성은 높기 때문에 과목흥미나 이해도 향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부모로서 아이가 전담선생님 수업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소외감 느끼는지 세심히 살펴주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