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느낌의 그림자
느낌의 그림자

미국이 3500억 달러 투자를 현금으로 요구에 우리는 무제한 통화스와프로 역제안 했다고 합니다. 무역협상은 어떻게 될까요?

미국으로 부터 막대한 투자를 요구 받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과 리스크는무엇일까요? 통화스와프 제안은 실질적 긴급 유동성 확보 전략일까요? 협상카드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통화스와프 제안은 한국입장에서 미국과의 계약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외환보유고가 약 4천억불인데 3.5천억불을 지출한다면 이에 대하여 외환위기가 바로 찾아오기 때문입니다. 다만 미국은 이에 대한 상황을 알고 있기에 더 강경하게 입장을 표시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3500억 달러 현금 요구가 사실이라면 일괄 수용보다 단계적 투자, 세액공제보증 등 비현금 패키지 전환이 현실적입니다. 통화스와프는 달러 유동성 안전망이자 협상 지렛대지만 승인 조건이 많아 확정카드는 아닙니다. 한번에 크게 가면 부작용 큽니다. 재정부담, 환율 흔들림, 대중국 역풍은 다자공동투자와 공급망 인센티브로 분산하는 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3500억 달러 현금 투자 요구는 사실상 정치적 압박에 가깝습니다. 이런 경우 우리나라가 통화스와프를 언급한 건 단순한 금융 협력 제안이라기보다 협상 판을 바꾸려는 의도에 가깝습니다. 통화스와프는 직접적인 투자 대신 유동성을 확보하면서도 동맹의 신뢰를 강조할 수 있는 카드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미국이 요구하는 건 산업 투자 성격이 강하므로 금융 교환만으로는 만족시키기 어렵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