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금쪽같은쌍봉낙타155
금쪽같은쌍봉낙타155

내과 소변검사 결과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성별
여성
나이대
29
복용중인 약
고지혈증 약

약간의 현기증과 몽롱함, 울렁거림, 한달만에 3kg의 체중감량 소변에 잔거품 등의 증상으로 내과에서 피검사와 소변검사를 받았습니다

콜레스테롤이 높은 편이라 두달전부터 약으로 관리중이며 이번 검사 결과 잘 조절이 되고 있으며 다음번에는 약을 더 적게 써도 되겠다고 하셨습니다.

당뇨 진단도 받지는 않았지만 당 관리를 해야 된다고 하셨습니다. 이번 검사결과에서는 공복혈당이 지난번(100)보다 낮은 88로 나왔습니다.

그 외 갑상선/ 간 수치도 다 정상으로 나왔고요.

피검사에서는 특별한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문제는 소변검사입니다.

소변볼 때 통증이라거나 크게 불편한 점은 없었는데 소변에서 염증 양성에 단백뇨도 조금 있고 케톤? 그것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검색해보니 당뇨 환자들한테서 많이 볼 수 있는 증상이라는 것 같은데 피검사에서는 문제가 없는데 당뇨일수도 있나요...?

제가 먹는 것마다 다 소변으로 배출이 되고 있다는 건가요?

염증은 약을 먹는다고 쳐도 단백뇨와 케톤 그거는 어떻게 해야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요,,, 심각한 건 아닐지 무섭습니다,,, 도와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심하지 않은 단백뇨의 경우 피로한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1달 뒤 다시 소변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만일 다음 검사에서 단백뇨가 더 심해진다면 신장 질환 가능성에 대해 신장내과 진찰과 검사가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 혈액검사상에서 당뇨소견이 없었다면 소변상의 단백뇨와 케톤뇨는 직접적 관련이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케톤뇨는 몸에 일시적 탈수 등이 있을때 나올수 있는 비특이적 변화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상적인 신장의 사구체는 혈액 내 단백질을 여과하지 않지만, 어떤 원인으로 인해 단백질이 다량으로 여과되어 소변으로 배출되면 이를 단백뇨라 합니다. 단백뇨가 발생한다고 해서 항상 신장에 큰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신장이나 전신질환(신증후군, 급만성 신염, 신우신염, 유전성 신염, 신장 종양,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당뇨병, 다발성 골수종, 루푸스, 소염 진통제 등의 약물)이 원인이 되어 단백뇨가 생깁니다. 단백뇨는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격렬한 운동, 발열, 오랫동안 서 있는 행위, 과도한 정신적 스트레스, 급격한 추위 노출 등의 원인으로 단백뇨가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인이 제거되면 사라집니다. 이러한 단순성 단백뇨는 비교적 건강한 사람에게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단백뇨는 일과성, 간헐적, 지속적으로 구분됩니다. 일과성 단백뇨는 반복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타나 더 이상의 추적 검사가 필요 없습니다. 간헐적 단백뇨는 3회 이상 검사에서 2회 이상 양성일 때를 말하며, 1~2년간 추적 검사가 필요합니다. 지속적 단백뇨는 매 검사마다 단백뇨가 검출되는 경우로, 신질환에 의한 것으로 사구체 신염 등 신장 질환이 원인일 수 있으며, 전신부종을 동반한 신증후군의 경우 하루 3.0g 이상 단백뇨가 배출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당뇨는 소변 검사로 진단되는 것이 아니라 공복 혈당과 당화혈색소라는 혈액검사로 진단됩니다. 케톤은 금식을 하거나 하면 검출될 수 있습니다. 소변에 염증세포가 있으면 단백뇨가 같이 나오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소변에 염증이 없을 때 단백뇨가 있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컨디션이 좋을 때 다시 소변 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단백뇨가 있을 경우 단순히 일시적으로 나타난 것일 수도 있기 때문에 추적관찰 해보시고 계속 단백뇨가 나온다면 신장 질환을 의심해보아야 하며 관련된 정밀 검사를 통한 감별 진단을 시도해보아야 하겠습니다. 보통 신장 질환의 경우에는 치료가 쉽지 않긴 합니다.

    2. 케톤이 나오는 것은 육류 등 단백질을 과하게 섭취하거나 단순히 굶거나 하여서도 생길 수 있는 비특이적인 소견이기 때문에 당장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습니다.

    3. 공복혈당 검사에서 정상이 나오더라도 당뇨병이 있을 수 있긴 합니다. 보다 정확한 것은 당화혈색소 수치를 확인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