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용어 중에 항성시차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16~18세기 유럽 과학의 모습에 대한 뉴스에서
"그는 코페르니쿠스의 체계를 거부했는데 그것은 항성 시차(視差)를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티코 브라헤의 천문대 내부 모습 지구가 움직인다면 지구의 위치변화에 따라 항성을 보는 각도가 달라져야 하는데..." 내용에
항성시차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시차는 하나의 물체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바라볼 때 멀리 있는 배경에 대해 다른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걱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손을 쭉 편 후 손가락을 세우고 오른쪽 눈과 왼쪽 눈으로 볼 때 배경에 대해 손가락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것이 시차입니다. 항성시차는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는 별(항성)을 지구의 공전궤도 양끝에서 보면 앞에서 살펴본 손가락처럼 멀리 있는 별을 배경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일 것이며 그 위치는 6개월 간격으로 왕복하는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이것이 항성시차입니다. 티코 브라헤는 코페르니쿠스의 의견을 받아들여 시차를 측정하고자 했으나 시차가 너무 작아 당시의 기술로는 알아낼 수 없었습니다. 그 결과 티코 브라헤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 중심설과 코페르니쿠스의 태양 중심설을 혼합한 자신만의 우주체계를 주장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성 시차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별의 위치가 달라지는 현상입니다. 지구가 공전하는 궤도는 타원형이기 때문에, 지구가 태양에 가까울 때와 멀 때 별의 위치는 다릅니다. 이때 별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멀다면,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별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에 포함되는 지구와 같이 움직이는 천체에 있는 관측자가 항성을 관찰할 때,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항성이 천구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보이게 됩니다. 두 위치의 차이를 시차라고 항성간 시차를 항성시차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성시차는 단순히 지구에서부터 항성까지거리를 계산한 값으로써,주로 연주시차와같은 시간을 활용한 측정법으로 부터 게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