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

지구과학 용어 중에 항성시차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16~18세기 유럽 과학의 모습에 대한 뉴스에서

"그는 코페르니쿠스의 체계를 거부했는데 그것은 항성 시차(視差)를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티코 브라헤의 천문대 내부 모습 지구가 움직인다면 지구의 위치변화에 따라 항성을 보는 각도가 달라져야 하는데..." 내용에

항성시차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시차는 하나의 물체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바라볼 때 멀리 있는 배경에 대해 다른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걱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손을 쭉 편 후 손가락을 세우고 오른쪽 눈과 왼쪽 눈으로 볼 때 배경에 대해 손가락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것이 시차입니다. 항성시차는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는 별(항성)을 지구의 공전궤도 양끝에서 보면 앞에서 살펴본 손가락처럼 멀리 있는 별을 배경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일 것이며 그 위치는 6개월 간격으로 왕복하는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이것이 항성시차입니다. 티코 브라헤는 코페르니쿠스의 의견을 받아들여 시차를 측정하고자 했으나 시차가 너무 작아 당시의 기술로는 알아낼 수 없었습니다. 그 결과 티코 브라헤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 중심설과 코페르니쿠스의 태양 중심설을 혼합한 자신만의 우주체계를 주장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성 시차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별의 위치가 달라지는 현상입니다. 지구가 공전하는 궤도는 타원형이기 때문에, 지구가 태양에 가까울 때와 멀 때 별의 위치는 다릅니다. 이때 별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멀다면,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별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에 포함되는 지구와 같이 움직이는 천체에 있는 관측자가 항성을 관찰할 때,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항성이 천구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보이게 됩니다. 두 위치의 차이를 시차라고 항성간 시차를 항성시차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성시차는 단순히 지구에서부터 항성까지거리를 계산한 값으로써,

      주로 연주시차와같은 시간을 활용한 측정법으로 부터 게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