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일반적으로즐거운복분자
일반적으로즐거운복분자

괴사성은 죽을수도 있는 병인가요??

괴사성이 대체로 어떤병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치사율이랑 낳을수 있는 방안이 궁금합니다 아시는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괴사성 연조직염과 괴사성 근막염을 포함한 괴사성 피부 감염은 심각한 형태의 연조직염인데요, 이러한 감염은 감염된 피부와 조직의 사멸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감염된 피부는 붉고 만지면 온기가 느껴지며 붓고 피부 아래에는 기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대체로 극심한 통증을 경험하고, 몹시 아파하며 고열이 발생합니다. 죽은 피부와 조직을 제거하는 치료가 실시되며 때때로 광범위한 수술과 항생제 정맥 투여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피부 감염으로 피부와 인근 조직이 괴사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세균 감염에 의해 감염된 부위의 작은 혈관에 혈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혈전을 통해 해당 혈관과 인접한 조직은 혈액이 부족하여 괴사하게 됩니다. 일부 괴사성 피부 감염은 근육을 덮는 결합 조직(근막)의 표면을 따라 피부 깊숙이 확산되고, 이를 괴사성 근막염이라고 합니다. 괴사성 피부 감염 중 피부의 바깥층으로 확산되는 다른 감염은 괴사성 연조직염이라고 합니다. 일부 경우 괴사성 피부 감염은 자창이나 열상에서 시작되며, 특히 흙과 지저분한 것에 오염된 상처에서 시작됩니다. 세균에서 분비된 독소와 감염에 대한 인체 반응으로 혈압이 떨어질 수 있는데요, 패혈성 쇼크 현상이 나타나는 환자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괴사성 질환은 조직이 죽는 상태로,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괴사성 질환으로는 괴사성 근막염, 괴사성 췌장염, 괴사성 장염 등이 있습니다. 괴사성 근막염은 피부와 근육을 감염시키며 매우 빠르게 퍼져 치명적일 수 있으며, 치사율은 20~30%에 달합니다. 치료는 보통 감염 부위의 신속한 제거와 강력한 항생제 투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괴사성 질환은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생존율에 매우 중요합니다.

  • 괴사는 반드시 죽음에 이르는 질병은 아닙니다. 하지만 어떤 조직이나 기관이 괴사하면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 회복이 불가능한 후유증을 남기거나 사망에 으리기도 합니다.

    우선 괴사란 생체 조직이 혈액 공급 부족이나 감염 등의 원인으로 손상되어 세포가 죽는 현상을 말합니다. 괴사가 발생하는 부위와 원인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 다른 증상과 치료법을 가질 뿐만 아니라 치사율도 천차만별로 달라지게 됩니다.

    무엇보다 괴사가 위험한 이유는 괴사된 조직이 더 이상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것에 있습니다.

    특히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괴사는 패혈증이나 다장기 부전 등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괴사는 병이라기 보다 현상입니다. 괴사는 세포 또는 살아 있는 조직이 예정보다 빠르게 죽는 걸 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