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S센서의 동작원리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어둡고 밝은곳에 따라 동작을 하는 CDS센서의 동작원리에 대해서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CDS센서의 원리와 활용되는 곳에 대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CDS 센서는 광저항(LDR, Light Dependent Resistor)으로, 빛의 양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밝은 곳에서는 저항값이 낮아지고 어두운 곳에서는 저항값이 높아집니다. 이 원리를 이용해 CDS 센서는 주변 밝기에 따라 전기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켜 조명 제어, 자동 조도 조절 시스템 등에 사용됩니다. 주로 자동 가로등, 스마트 조명, 카메라의 노출 제어 등에 활용됩니다. CDS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의 조도 변화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CDS 센서는 Cadmium Sulfide(황화 카드뮴)로 만들어진 광전도체로, 주로 빛의 양을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빛에 노출되면 저항이 줄어들고, 어두운 상태에서는 저항이 커지게 됩니다. 이 변화는 전기 회로 내에서 전류 흐름에 영향을 주어 어두운 곳과 밝은 곳을 감지합니다. CDS 센서는 주로 자동 조명 제어, 거리 탐지, 사진기 노출계 등에 활용됩니다. 밝기에 따라 저항 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도 변화에 따른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CDS는 기본적으로 저항의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아래 CDS의 기호에 저항의 이미지가 들어가 있다고 하죠. 여기서 그 기호에 보면, 외부로부터의 빛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하는 화살표로 구성되어 있듯이, 빛에 따라 저항값이 바뀌는 특성이 있는 원리로 구동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CDS 센서는 황화카드뮴이라는 반도체 물질을 사용해 광도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는 센서로 빛이 적을 때는 저항이 높고 빛이 많을 때는 저항이 낮아집니다. 광전도 효과로 빛 에너지를 받으면 전자-정공쌍이 생성되어 전도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센서의 저항이 감소해 전압 변화로 밝기를 측정합니다. CDS 센서는 자동 조명 보안 시스템 카메라 자동 노출 산업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저렴하고 구하기 쉽고 간단한 회로로 작동 가능하며 빠른 응답 속도를 갖는 장점이 있지만 선형성이 좋지 않고 온도에 민감하며 장기간 사용 시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도 있습니다
CDS센서는 세라믹 기판에 화화카드뮴 분말을 소결해서 제작합니다. 이 황화카드뮴이 광전도 효과가 있어서 빛에 따라서 이 광전도효과를 이용해서 센서 내부 저항을 변형시키면서 빛에따라서 조절하는 원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