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가계의 실질 저축액이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나요
국내의 가계 순저축액도 많이 감소했을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최근 국내가계의 실질 저축액이 어떤 추세를 보이고 있는지 통계흐름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통계청ㆍ한국은행에 따르면 2023년 가계순저축률은 4.0%로 전년(6.3%)보다 2.3%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3년(3.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쉽게 말해 이 수치가 감소했다는 건 가계가 쌓아둔 여윳돈이 줄어들었단 의미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가처분 소득이 감소함에 따라(과도한 대출 등에 근거해서) 점차 실질 저축액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라 볼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이라는 이중고까지 겹쳐서 이런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의 순저축액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는 소비 증가와 함께 저축률이 낮아진 결과로 해석됩니다. 한국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가계의 저축률은 과거 몇 년간 감소세를 보였고, 특히 2022년과 2023년에는 물가 상승으로 인해 실질 저축액이 더욱 줄어들었습니다.
또한, 고금리 환경 속에서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가계의 저축이 줄어드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있으며, 가계의 재정적 압박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가계순저축률자체가
근래 10년간 가장 낮은 수준인
3.7%를 보이는 등 하였습니다.
통계적으로는 최근 10년간 어느정도 상승을 하다가 하락,
다시 상승 하락 등을 반복 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국내 가계의 실질 저축액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1분기 가계당 월평균 실질소득이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으며, 이는 7년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감소는 고물가와 실질 근로소득의 하락이 주된 원인으로, 가계의 소비지출이 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면서 저축 여력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반적으로 가계의 저축 여건은 어려워지고 있어, 물가 안정과 소득 증가를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가계의 실질 저축액의 흐름에 대한 내용입니다.
펜데믹 이후 우리나라 가계의 저축은 명목 GDP의 4.7 ~ 6.0퍼센트 정도로
저축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2023년 기준입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정확한 최근 통계발표를 알지는 못하지만 고금리가 오래 지속되면서 가계의 대출상환 부담이 증가하고 실질소득이 감소하면서 실질 저축액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