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 시기에도 2% 이하의 금리는 기대할 수 없나요?
금리인하 시기에도 2% 이하의 금리는 기대할 수 없나요?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그렇고 신용대출 금리도 그렇고...월급은 안오르는데 대출 금리만 너무 높네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 2%로 라고해도 실질 금리는 그렇게까지는 안떨어질 것입니다.
이유는 시중금리는 기준금리에서 +이윤으로 은행이 이익을 챙기기 때문입니다.
보통 1.5배~2.5배 사이인데 만약 금리인하로 인하여 2%정도라고 하면 시중금리는 3~4% 정도로 예상됩니다.
현재 문제는 금리 인상은 안하더라도 고금리 유지는 올해까지는 유지가 되기 때문에
현재 대출이 많으신 분들은 정말 힘든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1% 이하의 초저금리로 내려갈 경우 2% 이하의 금리를 기대할 수 있으나 당분간 그 수준으로 이자수준이 내려가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낮은 시기라 할지라도, 대출금리가 2%이하로 내려가는 것은 국가가 보조하는 일부 상품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을 것입니다. 대출금리아 2%만 된다는 것은, 예대금리차를 생각했을 때 예금금리가 1%내외, 기준금리는 1% 이하로 내려가야 한다는 것인데 그럴일은 거의 없어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 하반기니ㅡ 내년초에 금리인하가 당장은 어렵지만 그 이후 점진적으로 인하해 2%대 인하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현 상황에서는 기준 금리가 1%대로 내려오지 않는 이상 주담대, 신용대출 등 대부분 대출 금리가 2% 이하로 내려오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로나이전 1.5~1.75%의 금리였었던 것을 감안한다면
금리인하시기에 금리는 지금보단 내려가겠습니다.
하지만 당장 미국의 금리정책 기조를 봤을 때 인하는 24년이 되서야 점차 시행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당분간은 국내도 3.5%의 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향후 경기가 좋아지지 않거나
경기침체 상황에서는 금리를 다시
내릴 가능성이 크고 2% 이하로 내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율이랑 은행들 예대마진 생각하면 기준금리 0프로대 가도 대출금리2프로 이하는 쉽지 않을거 같네용!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장은 물가지수가 높기때문에 쉽지않겠으나 경제상황에 따라 2%금리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