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요거트
요거트22.08.01

초등학교1학년 아이의 체벌은 어디까지 해야할까요.?

아이가 고집을 부릴때나 잘못된 행동을 할때 말로서는 한계가 있고 손으로 체벌하는 것은 안좋은 것 같아서 인터넷에서 회초리를 샀어요.

물론 아이가 무서워하지만 엉덩이를 때릴려고 해도 도망가고 반항해서 때릴수도 없네요. 잘못했으면 벌을 받는다는 것을 가르쳐주고 습관도 고치려고 하는데...제가 초보 아빠라서 잘하고 있는 건지도 솔직히 잘모르겠고... 어떻게 해야할지 방법적으로 문의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동에 대한 체벌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그 정도가 부모의 훈육 정도에 해당하여도 요즘에는

    정서적 학대로 적용될 수 있으니 체벌은 자체를 금해야합니다.

    아이의 눈높이에서 대화를 해보시고, 이해하려고 노력하시면서 대화를 통해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그래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가까운 상담기관에 방문하여 전문가 의견을 들어보도록 하세요.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자신을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데, 그런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면 아이들은 깜짝 놀라고 당황합니다. 일단 부모가 자신을 때렸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도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우선 겁을 먹거나 아이들도 화가 나기 때문에, 자기가 뭘 잘못해서 맞았는지, 그래서 엄마가 뭐라고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때리는것은 아이에게 공포감을 줄수있기에 하지 않는것이 좋으며

    아이가 무언가 행동을 교정하고 싶을때는 잘못된것을 할떄는 아이가 좋아하는 활동을 줄이거나 부적강화를 시키는것이 좋습니다.

    그렇기에 가능하면 때리는 체벌은 피하심이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요즈음엔 자녀가 옛날과 달리 한두명 뿐이라서 귀하게 키우는건 당연한 것 같아요

    올바른 훈육을 위해서 약간의 체벌은 괜찮다라고 하지만 그래도 물리적 체벌이 지속될 경우 아이들은 스트레스를 받게 돼 스트레스 호르몬이 뇌의 장기기억 공간인 ‘해마체’ 같은 뇌의 일부분에 독으로 작용할 수 있으니 가급적 체벌은 하지 않아야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체벌은 아이의 트라우마가 될 수 있으니 절대 체벌 하시면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떄리는 처벌은 악영향이 더 많습니다.

    회초리를 사용하는 것보다 아이가 잘못되었을 때 엄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대화를 통하여 아이를 훈육해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회초리를 사용하는 것이나 손으로 때리는 것이나 아이에게 좋지않은 것은 마찬가지 입니다

    물론 한참 말을 안들을 나이지만 아이에게 체벌을 하지마시고 다른 벌을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무조건 체벌만이 답은 아닙니다

    아이가 무엇을 잘못했고 무엇이 잘못된 행동인지를 스스로 알수 있게 해야합니다

    그렇기때문에 때리는 것보다는 그러한 행동을 한 이유를 본인스스로 반성할 수 있도록 기다려줄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