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에쁘니여자
에쁘니여자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중 열반도체 감지기의 동작원리와 동작순서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소방에서 화재감지로 사용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중 열반도체 감지기의 동작원리와 동작순서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열반도체 감지기는 열전도체를 이용해 주위 온도의 변화를 감지합니다.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때 전기 저항이 변하면서 이를 탐지해 화재 경보를 울리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정상 온도에서는 저항이 일정하지만,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급격한 온도 변화가 생기면 회로에 변화를 줘 경보가 작동합니다. 이 방식은 급격한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데 효율적이라 화재 초기 경보에 유용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차동식 스포트형 열반도체 감지기는 말그대로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가 센싱되면 감지기가 동작하는 방식이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열반도체 감지기의 동작원리는 기본적으로 열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합니다.

    열반도체는 온도가 변하면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는 물질로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주변 온도의 변화를 감지합니다.

    동작순서는 온도 상승 감지 > 열반도체의 저항 변화 > 온도 변화율 측정 > 신호 처리 > 경보 발령 > 수신기 경보 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동선 전기기사입니다.

    열반도체식 감지기는 서미스터 부온도의 저항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외부 서미스터 저항이 감소하면서 내부 서미스터는 저항 변화가 적게 되면 휘트스톤 브리지의 평형이 파괴되어 릴레이가 동작하여 화재신호가 전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