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모로코와 대규모 에이아이 수주한 네이버의 전망은?
네이버는 3개 사우디 도시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를 수주했ㄷ가고하고, 모로코에서는 에이아이 데이터센터 구축계획도 발표했따고 하더라구요 네이버의 전망은 밝은건가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네이버는 국내의 카카오와 다르게 독자적으로 과거부터 AI개발에 투자하면서 클로버라는 자체모델엔진을 갖고 있는 기업입니다.
특히 여전히 클로버 엔진을 개발하였으나 시장에서 많이 활용이 되지 않으면서 평가가 박한게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사우디와 모로코에 수주했다는것은 현재 시장에서 화두가 되는 소버린 AI의 가시성을 확보했다는 점입니다 현재 각 국가들은 오픈 AI나 미국의 빅테크에 국가의 AI시스템을 모두 의존하는것은 위험하다고 판단하고 있고 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들보다는 밀리나 기술수준이 비슷하다고 판단되는 업체를 조율하는것인데 여기에 네이버라는 업체가 들어가게 된것이므로 이는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즉 이렇게 개발도상국쪽으로 네이버가 소버린 AI사업에 적극투자하고 성과를 보이게 되고 그렇게 되면 국내에서도 이런 사업을 진행할 수 있고 이런 가시성으로 국내에서도 어느정도 관련된 서비스를 선보이며 매출이나 점유율이 발생한다면 그만큼 밸류에이션을 할증시키는 요소로 작동될 수 있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사우디, 모로코와 대규모 AI 수준한 네이버의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이번 계약이 구체화 되고 실제화 되어서
실적에 대한 전망이 나오게 되면 네이버의 주가도 다시 오를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이버는 사우디 3개 도시의 디지털 트윈 플래폼 구축을 완료했습니다. 이는 도시 전체를 3D로 정밀하게 모델링하고, 각종 도시 데이터를 통합하여 도시 계획, 홍수 예측,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하는 사업입니다. 사우디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대규모 사업입니다. 이곳에 네이버의 팀네이버가 가진 디지털 트윈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것은 네이버의 기술 수준이 글로벌 최고 수준임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3개 도시를 시작으로 향후 사우디 내 다른 도시들로 사업이 확장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사우디에서 성공적인 레퍼런스를 확보함에 따라 중동 및 다른 국가들의 스마트시티 구축 사업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이버와 같은 경우
ai 산업에서 어느정도 강점도 있고 수혜도 볼 것으로 보이나
세계 빅테크들에 비하여는 아직까지는 경쟁력이 있다고 보기는
다소 어렵지 않나 싶기에 다른 국가에서 대규모 수주를 하여도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샤우드 모듈러 AI센터 3곳 구축은 데이터 산업 성장 + 수주 확대 기대감이 반영된다고 봅니다.
AI인프라 수요 증가에 따른 클라우드 사업 확대가 예상되어 네이버엔 호재로 평가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네이버가 이번에 따낸 사우디랑 모로코 디지털 트윈 사업은 단순한 수주 이상으로 보입니다. 단가 높은 플랫폼 사업이라 매출 단위가 다르고 기술 주도권까지 얻을 수 있어서 의미가 큽니다. 특히 사우디처럼 인프라 투자에 적극적인 나라에서 네이버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점이 크고 모로코까지 연달아 따냈다는 건 향후 중동 북아프리카 전역으로 확장할 가능성도 열렸다는 뜻입니다. 다만 기술적으로 계속 경쟁력을 유지해야 하고 현지 요구나 정책 리스크도 만만치 않아서 관리가 중요해 보입니다. 제 판단으로는 국내에선 이미 포화된 플랫폼 산업을 해외로 확장해 나가는 데 이번 수주가 좋은 교두보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네이버가 북아프리카 모로코에 대규모 Al 데이터센터를 구축해서 유럽•중동•아프리카 시장을 타깃으로 한 이번 프로젝트는 '소버린 Al' 전략의 핵심으로, 네이버의 글로벌 확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입니다. 네이버는 이 인프라를 통해 데이터 주권'을 중시하는 유럽 시장에 효과적으로 진입하여 중장기 적으로는 AI 및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글로벌 경쟁력 확 보, 데이터 주권 시대에 맞춘 현지화 전략, ESG 강점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가 전망을 장기적으로 생각하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