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는 어떻게 결정되는것인지요?
안녕하세요? 경제 지표중에 소비자 물가지수가 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 소비자물가지수는 어떻게 결정되는것인지 알고싶습니다.
미국의 CPI라고 하는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대비 소비재나 서비스등의 가격이 어느정도 상승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람들이 사용하는 소비재나 서비스 품목중에서 실제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을 구한뒤 이를 가중치를 매겨서 구하게 되요
질문해주신 소비자물가지수가 어떻게 산출되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각 가정이 소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와 용역의 평균 가격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각 항목에 가중치를 적용해서 구한 값을 전체 가중치로 나누게 되면
소비자물가지수를 산출하게 됩니다.
1. 상품 및 서비스 선정: 대표적인 상품과 서비스를 선정하여 소비자 장바구니를 구성합니다.
2. 가격 조사: 선택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가격 변동을 파악합니다.
3. 가중치 부여: 소비자가 해당 상품과 서비스를 얼마나 많이 소비하는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4. 지수 계산: 가격 변동률을 가중치와 함께 고려하여 소비자 물가지수를 계산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소비자 물가지수는 소비자의 구매력과 물가 상승률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여 공표하며 통계청은 현재 전국 37개 도시에서 481개의 상품 및 서비스 품목을 대상으로 소비자구입가격을 조사하여 기준시점인 2010년의 소비자물가수준을 100으로 한 지수 형태로 작성 · 공표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사람들이 자주 사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정부는 정기적으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CPI를 계산합니다.
여기에는 음식, 의류, 주거비, 교통비, 의료비 등이 포함되고 이 모든 항목들의 가격 변화를 평균내서CPI가 결정됩니다.
조사대상품목 선정 : 일반 소비자가 구매하는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를 포함
가격조사 : 매월
가중치 부여 : 각 항목이 소비자의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반영
가격 변동 계산 : 조사된 가격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항목의 가격 변동 계산
지수계산 : 조사된 가격 변동을 가중치와 결합하여 전체 CPI를 계산합니다. 기준연도를 100으로 놓고 현재의 가격 수준을 보여줍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소비자 물가지수를 산정할 때 사용하는 계산법은 라스파이레스 방법(Laspeyres’ Formula) 방식입니다. 매우 복잡한 계산 방법인데 일반 대중은 소비자 물가지수에 편입된 항목(한국의 경우 37개 도시 481개 재화와 서비스 가격)의 가격을 기준 연도(2010년)의 해당 항목의 지역별, 개별 가격을 비교합니다.
가령, 110이면 2010년 보다 10% 물가가 상승했다는 의미입니다.
안녕하세요
소비자물가지수는 일반적으로 통계청에서 매달 대표적인 상품 및 서비스 품목을 대상으로 가격 변화를 조사하여 결정됩니다. 이때 각 품목의 상대적 중요도를 고려하기 위해 지출 비중을 가중치로 사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소비자물가지수는 정해놓은 물건의 가격을 다 조사합니다. 그래서 가중치를 두고 계산하고 이를 전년동월대비 몇%올랐는지 비교하는 것입니다.
약 460개품목이 되구요 식품같은 쌀 라면, 에너지 가격, 주택 임대료 등 많습니다. 이게 실제 생활에 얼마나 필요한지를 두고 가중치를 둡니다. 예를 들어 쌀같은 경우 아이스크림보다는 더 필요한거니 높을 것입니다.
그리고 시대가 변함에 따라 빠지고 추가되고 하는것도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새로 포함된다거나 하는 등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