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4.03.18

왜 행성이라고 불리는 명왕성은 크기가 어떻게 되나요?

한때는 태양계행성으로 불리었던 명왕성은 현재 왜 행성에 속해있는데 명왕성의 크기가 작어서 퇴출된건가요? 명왕성의 크기는 어느정도나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2006년 명왕성이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과 궤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는 제외되었습니다. 이 행성은 지구의 67% 정도의 크기이며 지구의 5분의 1 정도의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행성에서 퇴출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이유는 명왕성의 크기 때문입니다.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 중 하나로 지름이 약 2300km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는 지구의 지름의 약 1/5 정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명왕성은 너무 작아서 행성으로 분류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어 퇴출되었습니다.

    하지만 명왕성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하신 것 같아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명왕성의 지름은 약 2300km이며 이는 지구의 지름보다 약 1/5 정도 작습니다. 그리고 명왕성의 질량은 지구의 약 1/500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작은 크기와 질량 때문에 명왕성은 행성으로 분류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어 퇴출되었습니다.

    하지만 명왕성은 여전히 우리 태양계에서 가장 큰 물체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명왕성을 행성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아직도 많은 미지의 존재입니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명왕성에 대한 정보도 더 많이 알게 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2006년에 국제천문연맹에서 행성의 정의를 변경하여 명왕성을 행성에서 제외시켰습니다. 명왕성은 이후 왜 소행성이나 왜행성으로 분류되었던 것입니다. 명왕성의 크기는 지구의 반지름의 약 2/3 정도이며, 질량은 지구의 약 0.2배 정도입니다. 이로 인해 명왕성은 행성이 아닌 소행성이나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의 평균 반지름은 약 1188.3km로 달의 크기에 비해 2/3에 불과하여 태양계의 행성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태양계의 외곽에 위치한 왜행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명왕성의 지름은 약 2370km로, 지구의 지름의 약 1/5 정도입니다. 따라서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직경을 가지고 있는 왜행성 중 하나입니다. 명왕성은 지름뿐만 아니라 질량과 천체학적 특성 면에서도 특이한 행성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 이유가 있어요



    명왕성은 1930년에 발견된 이후 2006년까지


    태양계의 9번째 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행성의 정의를



    새롭게 정하면서 명왕성을 행성에서 제외했습니다.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른 행성들과 달리 궤도가 다른 천체들과 겹쳐 있습니다. 명왕성의 궤도는 해왕성의 궤도와 일부 겹쳐져 있습니다.



    충분히 큰 위성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명왕성의 가장 큰 위성인 카론은 명왕성의 절반 정도 크기입니다.


    주변의 다른 천체들을 끌어당겨 자신의 궤도를 깨끗하게 만들지 못했습니다.



    명왕성의 궤도에는 명왕성과 비슷한 크기의 다른 천체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명왕성의 크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직경: 약 2,370km

    지구 대비: 약 18.6%

    달 대비: 약 77%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인 카론과 함께 쌍성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카론의 크기는 명왕성의 절반 정도이며, 두 천체는 서로 중력적으로 묶여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기존의 행성 체계에서 퇴출된 이유는 행성의 개념이 재정립되면서 이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왜행성으로 강등된 것이며, 명왕성의 평균 반지름은 1,188.3km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암석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구의 위성인 달과 비교하면 질량은 1/6, 부피는 1/3 정도입니다. 그러나 지구에서 몸무게가 약 60 kg인 사람이 명왕성에 가면 약 4 kg가 됩니다. 명왕성은 태양으로부터 약 29~49 AU 떨어진 타원형 궤도를 돌고 있으며, 공전 주기는 약 248년, 자전 주기는 6일 9시간 43분입니다. 이심율이 큰 타원형 궤도 때문에 해왕성의 궤도보다 안쪽으로 들어올 때도 있습니다. 명왕성은 현재 왜행성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태양계 외곽의 여러 얼음 천체들 중 하나에 불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2006년까지 태양계 행성으로 분류되었지만, 국제천문연맹(IAU)에서 행성의 정의를 새롭게 하면서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명왕성이 퇴출된 이유는 크기가 작다는 것뿐만 아니라, 주변 천체를 청소하지 못한다는 점이 중요했습니다. 즉, 명왕성의 궤도 주변에는 카이퍼 대라 불리는 다른 천체들이 많이 존재하며, 명왕성은 이들을 위성으로 만들거나 밀어낼 수 있는 충분한 중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명왕성의 크기는 지구의 약 1/5 정도이며, 달보다도 약 23% 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