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주식시장은 8월 9월에 하락세인가요?

유튜브로 주식공부를하고있는데요 우리나라 코스피나 미국 나스닥은 8월 9월에 거의 하락한다고 해서요 사실인지 궁금합니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시장이 8-9월에 주로 하락한다고 말이 나오는 이유는 이때가 휴가 시즌이기 

    때문입니다. 기관 투자자들이나 개인들이 휴가를 갈때 주식을 신경 쓰기 어려워서 매도를 많이 하다보니 증시가 일부 내려가게 돼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시장이 8월 및 9월에 하락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상당수의 개미 투자자들 및 다른 투자자들도 8, 9월에는

    휴가 등을 떠나면서 주식을 매도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런 계절적인 이유로 주식이 약세가 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 통계상 여름철 거래량 감소와 기업 실적 발표 전후 불확실성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매년 동일하게 적용되지는 않으며 거시경제, 금리정책, 수급 상황이 더 큰 영향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2000년대 보시면 실제로 8~9월에 확률적으로 미국과 한국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가장 이러한 경향을 보인 이유는 대체적으로 미국은 8월 여름 휴가시 한달넘게 장기간 휴가를 가게 되며 이때 적극적으로 포트폴리오 변경을 하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거래량도 한산하고 새로운 매수량이 없다보니 거래량도 적고 한가한 흐름을 보이면서 변동성도 적고 주식이 하락하는 흐름을 보이는것입니다

    8~9월에 잭슨홀과 같은 주요 금리지표와 관련된 가이던스와 발표가 되는 시점이고 그리고 휴가에 복귀하면서 9월 말부터 본격적으로 포트폴리오 변경으로 매수세와 거래량이 늘면서 연말에 접어들면서 다시금 가격이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다보니 이런 경향이 굳어진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코스피 또는 나스닥이 8,9월에 약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매년 꼭 하락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여름철 거래량 감소, 기업 실적 발표 이후의 숨 고르기와 금리, 물가 지표 발표 등으로 불확실성 확대가 겹치기 때문 입니다. 다만 거시경제 상황과 금리 정책 그리고 지정학적 이슈에 따라서 상승 전환하는 해도 있기에 단순 계절 효과만으로 매매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위험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주식투자는 십수년 했지만 딱 8월 9월이라고 하락할 이유는 없습니다 주식투자가 특정월에 상승이나 하락하는 패턴은 없다고 생각하시는게 맞습니다

    단지 요즘 미증시나 우리나라 증시나 고가를 계속 갱신하면서 오르는 상황이긴 하구요

    일단 미국 9월 fomc 에서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미국 생산자물가 급등이후 낮아지면서 증시에 조금 악재가 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