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카카오뱅크나 케이뱅크는 어떻게 수수료가 무료인가요?

카카오뱅크나 케이뱅크는 점검시간을 제외하고 모든시간에 송금하는 수수료가 안들어가던데 어떻게 그게 가능한가요?

일반은행들은 수수료를 붙이는데

수수료없이 운영이어떻게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시크한오리233
    시크한오리233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 등 회사들간의 경쟁이 심화되어 수수료 수익을 포기하고 점유율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라고 생각됩니다.

    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457182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마케팅 효과를 누릴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수수료 지출에 민감한 수요자층을 잡을 수 있습니다. 출범 초기부터 수수료 무료를 유지한 카카오뱅크의 누적 신규계좌 개설 고객 수는 2017년 24만명에서 지난해 1300만명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이런 고객층을 바탕으로 체크카드 수수료 등 수수료 수익이 처음으로 수수료 비용을 앞질렀습니다. 즉 다른곳에서의 수익으로 이러한 수수료 무료 정책을 메울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은 타행에 돈을 송금할 때 드는 금융결제원 공동전산망 사용료와 에이티엠 운영 비용 등을 감안해 금융소비자에게 수수료를 징수하고 있지요. 편의점 등에 설치된 부가 통신사업자(VAN)의 에이티엠은 수수료가 더 비싸지요. 대신 수수료를 내고 싶지 않은 소비자는 주로 거래하는 은행 에이티엠을 이용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전국 곳곳에 에이티엠을 둔 시중은행과 달리 인터넷전문은행은 지점이 하나도 없습니다. 인터넷 전문 은행 고객이 현금을 찾거나 송금하려면 반드시 다른 은행 에이티엠을 쓸 수밖에 없고 불가피하게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이럴 경우 비 대면 금융거래를 하는 금융 소비자들로 고객층이 한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인터넷 은행들은 금융 소비자가 내야 할 수수료를 은행과 에이티엠 운영사에 대신 납부하는 전략을 택한 것입니다.하지만 이런 전략을 언제까지 계속 가져갈 것인지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