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8

크리스마스는 언제부터 공휴일로 지정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서는 종교 기념일로 쉬는게 크리스마스 하고 석가탄신일 이렇게 2개 인거 같은데 크리스마스는 언제부터 공휴일이 된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탄절 풍경은 해방 후에도 이어져서 이 즈음에 발행된 신문에 크리스마스 축하 파티에 대한 여러 광고가 실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성탄절은 해방 이후에 한국에서 더욱 중요해졌는데, 이에 성탄절을 공휴일로 정한 미군정의 정책과 이 정책을 그대로 이어받은 이승만 정권도 성탄절의 정착에 큰 기여를 하였다. 중국과 일본에서 성탄절을 공휴일로 정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에서 한국 공휴일 정책의 특수한 면을 볼 수가 있다. 또 1945년 9월부터 1982년 1월까지 행해진 야간통행금지가 12월 24일 성탄절 이브에는 해제되었다는 사실도 성탄절을 한국인들이 특별한 날로 인식하는 데 기여하였다.

    현재 성탄절은 종교와 상관없이 한국인 대부분에게 한 해를 마감하는 세시로 인식되고 있다. 산타클로스 할아버지가 가져다주는 크리스마스 선물은 어린이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크리스마스 캐럴은 12월이 되면 어김없이 길거리나 방송매체를 통해서 전달되며 이는 한 해가 저물어감을 알리는 중요한 상징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렇게 성탄절이 중요한 세시의 하나로 정착하는 데에는 국가의 공휴일 정책과 기독교도의 증가, 일본에서 도입된 것으로 보이는 상업적 이익추구도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성탄절 [聖誕節] (한국세시풍속사전)


  • 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탄절은 대통령령 제28394호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서 이 날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1949년 정부 수립 후 최초로 지정된 공휴일 중 하나 입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3.05.28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군정 체제에서 공휴일로 지정된 성탄절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6월 4일 대통령령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서 당시 인구의 3%였던 기독교 신자들의 기념일로 '기독탄신일(基督誕辰日)'로 정하였다.

    https://ko.m.wikipedia.org › wiki

    크리스마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