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해양 생태계가 가장 많이 유지가 되고 있는 수심은 어느 정도 인가요

우리 바닷가 굉장히 얕은 것도 있지만 깊은 것도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해양 생태계가 가장 많이 유지가 되고 활성화가 되어 있는 수심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해양 생태계는 수심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입니다. 햇빛이 잘 드는 연안 지역은 플랑크톤이 번성하고, 이를 먹이로 하는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기 때문에 생태계가 가장 풍부합니다. 갯벌, 암초, 해초밭 등 다양한 서식지가 형성되어 있어 더욱 많은 생물들이 살 수 있죠. 하지만 수심이 깊어질수록 빛이 줄어들고 수압이 높아져 생물 종이 제한적이며, 독특한 생태계가 형성됩니다.

    하지만, 해양 생태계가 가장 활발한 수심을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해역별, 계절별 차이가 있고, 생물 종에 따라 선호하는 수심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열대 바다의 산호초는 얕은 곳에 주로 분포하지만, 심해에는 열수구 주변에서 독특한 생태계가 형성되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해양 생태계는 수심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 요인에 의해 복잡하게 변화합니다. 일반적으로 연안 지역이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지만, 심해에도 독특한 생태계가 존재합니다.

  • 우리 바닷가의 수심에 따른 해양 생태계는 지역, 계절, 해류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해양 생태계가 가장 풍부하고 다양하게 나타나는 수심대는 대륙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륙붕은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경계 부근에서 완만하게 경사져 있는 해저 지형으로, 일반적으로 수심 200m 이내의 비교적 얕은 지역을 말하며, 햇빛이 잘 도달하여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그래서 플랑크톤이 풍부하여 먹이사슬의 기초를 이루게 되고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로, 어류, 조개류, 해조류 등이 풍부합니다.

    그래서 대륙붕에서 해양 생태계가 활성화되는 것이죠.

  • 해양 생태계가 가장 활발히 유지되는 수심은 약 0에서 200미터인 표해수층입니다. 이 범위는 햇빛이 충분히 도달해 광합성이 가능하고, 플랑크톤과 다양한 해양 생물이 번성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얕은 연안 지역은 영양분이 풍부해 생물 다양성이 높고, 깊은 심해로 갈수록 생물 분포가 줄어듭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출처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수심 30-40m까지가 해역에서 가장 많은 어종이 살고 사람의 식량이 되는 어류들의 산란처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