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달리기하는하마
달리기하는하마

우리나라 무역 의존도 감소, 산업 구조 전환에 어떤 파장이 있을까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에서 서비스 비중이 늘고 공산품과 무역 의존도는 줄었다고 합니다. 이런 변화가 수출 산업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까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는 우리나라가 점차 제조업 측면에서 몰락을 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한국은 높은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인건비상승, 노동법에 따른 노동시장 경직화 등으로 인하여 많은 기업들이 철수 등을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따라 서비스가 증가하고 제조업이 몰락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무역 의존도가 줄고 서비스 비중이 커진다는 건 단순히 수출 물량이 줄었다는 얘기보다는 산업 구조가 변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제조업 중심으로 성장해 왔지만 최근에는 콘텐츠나 금융 같은 무형 서비스 수출이 늘어나면서 무역의 질적 구성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공산품 수출만 바라보기 어렵고 서비스와 융합된 형태로 가야 경쟁력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도 단순 제품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모빌리티 서비스가 결합된 방식으로 수출이 이뤄지는 흐름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내수경제를 활성화 시켜 경제를 부흥시키는데 어느정도 한계가 있어 무역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국가 중 하나라고 보여집니다.

    다만, 서비스업에 대한 비중 확대는 내수경제 활성화는 물론 수출경제의 활성화에도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특히 내수와 서비스 산업이 함께 성장하면 외부충격에 대한 경제의 회복력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