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다시봐도감미로운자라
다시봐도감미로운자라

29개월인데 욕심이 많은 아이 어떻게 지도하면 좋을까요?

29개월 아이인데 놀잇감을 항상 양손 넘치도록 가지고 노는데 요즘은 놀잇감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도 친구에 놀잇감을 뺏으려하거나 안주면 머리로 밀거나 우는 모습을 하루에도 자주 보이고 있어요. "내꺼야"라는 말을 자주해요. 좋아하는 자동차를 다른 친구가 탈까봐 간식도 안먹기도 해요. 말도 잘하는데 말보다 울음과 행동으로 표현을 많이 하고 있어서 어떻게 지도해주면 좋을지 알려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욕심이 많은 29개월 아이를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가봅니다.

    29개월 아이가 친구의 놀잇감을 빼앗거나 “내꺼야”라고 주장하는 모습은 자기중심적 사고와 소유 개념이 아직 미숙한 발달 단계에서 흔히 나타나는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는 불안감을 느낄 때 자신이 좋아하는 물건을 꼭 쥐고 안정감을 얻으려 하며, 말보다 울음이나 행동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것도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이럴 때는 혼내기보다는 소유 개념을 또박또박 알려주고, 역할 놀이를 통해 빌려주고 돌려받는 경험을 반복적으로 연습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의 장난감이니까 ○○가 놀 수 있어” 같은 문장을 자주 들려주며, 차례 기다리기 놀이나 에너지 발산 활동도 병행하면 아이의 충동성과 불안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놀잇감에 대한 욕심이 많다 라는 것은

    배려.나눔.양보 라는 부분이 부족해서 입니다.

    즉. 아이는 내꺼야 라고 말하는 부분의 경향이 높은 이유는 이기주의 성향이 강해서 입니다.

    나 밖에 모르는 마음이 크기 때문에 친구와 사이좋게 놀이를 하는 것이 미흡한 것입니다.

    아이에게 알려 줄 것은 친구와 사이좋게 놀이를 해야 함을 인지시켜 주는 것입니다.

    또한, 아이에게 배려.양보.나눔의 대한 언어적 정의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설명을 해주면서

    욕심을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다 라는 것을 단호함으로 전달을 하고, 욕심을 부리지 않고 친구와 사이좋게

    놀이를 해야 하는 이유가 왜 인지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잘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이러한 교육은 매일 밥상머리 교육 시간을 통해서 꾸준함으로 알려주며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 시기엔 '내 것'개념이 발달하며 욕심이 강해지는 시기임을 부모에게 설명하세요. 억지로 나누게 하기보다, '이건 네거, 저건 친구 거'처럼 소유 개념을 구분해주고, 차례 기다리기 놀이로 양보를 자연스럽게 익히게 하세요. 아이가 물건을 지키려 할 땐 감정을 먼저 공감하고 말로 표현했을 때는 즉시 칭찬해 긍정적인 강화가 이루어지도록 돕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그 시기에는 아이들이 소유의 개념이 강해지고, 불안에서 오는 욕심이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입니다.

    "이건 네 거야, 그런데 친구도 한 번 가지고 놀고 싶대."처럼 소유를 인정해 준 다음에 공유를 제안해 보세요.

    울거나 밀었을 때는 감정을 먼저 공감해 주면서도, 그럴 때는 이렇게 말해볼까, 라고 대안 행동을 알려 주세요.

    놀이 중 선택권을 자주 주어서 아이가 통제감을 느끼게 해 주면 욕심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