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음악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이미자씨의 동백아가씨는 왜 금지곡이 되었나요?

1964년 이미자가 부른 동백아가씨는 한산도작사 백영호 작곡한 노래 동백아가씨는 인기가 좋았는데 금지곡이 되었다고 하는데 금지곡이 된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헤일수 없이 수많은 밤을

    내 가슴 도려내는 아픔에 겨워

    얼마나 울었던가 동백아가씨

    그리움에 지쳐서 울다 지쳐서

    꽃잎은 빨갛게 멍이 들었소....]

    문제가 되는 부분이 "그리움에 지쳐서 울다 지쳐서 꽃잎은 빨갛게 멍이 들었소"라고 합니다.

    이 가사에는 당시의 시대상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어려웠던 시절, 아픔의 수많은 밤을 기다림으로 지샜던 민중의 한이 표출되었다고 하여, 군사정부는 왜색이 짙다는 이유로 금지곡이 되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미자 씨는 결혼 이후에 '동백아가씨'의 인기 행진이 이어졌고 1965년도에 갑작스럽게 동백아가씨가 왜색이라는 이유로 금지곡이 된다"고 설명했다.

    라고 답변을 구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해방 이후 이미자의 '동백아가씨'가 발표된 지 1년만에 금지곡(1965)이 된 진짜이유는

    알려진 ‘왜색풍’ 이 아니다.

    박정희 정권이 취한 ‘한일국교정상화’

    조치라는 정치적 배경 때문이다.

  • 일본의 엔카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금지곡이 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또 다른 설로는 당시 한일회담의 역작용으로 <동백 아가씨>가

    희생양이 되었다는 설이 지배적입니다.

    이후로 섬마을 선생님, 기러기 아빠 등

    새로 발표하는 곡들이 왜색 등의 이유로 금지곡이 많아서

    이미자 본인은 노래를 그만 둘까 생각도 했다고 합니다.

    1987 민주화 운동을 계기로 금지곡들이 모두 해제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백아가씨는 왜색이 짙다는 이유로 금지를 했지만 알고보면

    박정희 정권이 한일 국교 정상화라를 조치를 취하면서 정치적인 배경 때문에 금지를 시켰습니다.

    사람들이 저항을 하자 한일수교가 저자세로 비춰질수 있기 때문에

    노래를 왜색으로 몰아 간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미자의 '동백아가씨'는 난잡함과 부도덕함을 조장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암시적인 가사와 주제로 인해 1970년대 한국에서 금지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박정희 대통령 정권시절에 동백아가씨 노래가 선풍적인 인기를 끕니다.

    박정희 대통령도 자주 부르고 좋아하셨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본풍이 너무 짙다는 이유로 금지곡이 되었다고 합니다.

    당시는 그런 시대였습니다.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재미있는 시대였지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박정희 정권은 동백 아가씨 라는 곡을 일본의 엔카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방송 정지 처분을 하는데 물론, 한국의 트로트가 일본의 엔카와 비슷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이전의 다른 가수들의 트로트 곡들은 그때까지 이런 시비를 걸지 않았으면서 유독 이미자의 곡들에 시비를 걸었다는 의아 합니다. 이외에도 동백꽂이 일본 꽃이라는 이유로 금지시켰다는 설도 있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엔카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당시 박정희 정권은 돌연 이 곡을 방송금지를 하게 되었습니다.

    또, 다른 이유로는 가사 때문이라는 설로, 문제가 되었던 부분은 '그리움에 지쳐서 울다 지쳐서 꽃잎은 빨갛게 멍이 들었소' 부분으로 무얼 기다리느냐는 것으로 기다릴 일이 없으면 마음에 멍들 일도 지칠일도 없을 것이라는 것이 이유입니다.

    시대적 배경으로 당시 한일회담의 역작용으로 동백아가씨가 희생양이 되었다는 설이 지배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64년 이미자가 부른 '동백아가씨'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팝송 중 하나로, 인기를 끌었던 노래입니다. 그러나, 이후로 금지곡이 되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시 대한민국은 군사정권 아래 있었고, 이 때문에 군부는 대중문화에 대한 검열을 시행하였습니다. '동백아가씨' 노래의 가사 중 일부가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으로 판단되어, 이 노래는 검열 대상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후로 이 노래는 금지곡이 되었으며, 공중파 방송에서는 방송이 금지되었습니다.

    하지만, 이후로도 대중들은 이 노래를 사랑하고 부르기 시작했으며, 사적으로는 계속해서 유행하였습니다. 이후에는 1987년 민주화 이후로 검열이 해제되면서 공중파 방송에서도 방송이 가능해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