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빵은 포르투갈어라고 하던데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온 단어인가요?
빵이라는 단어는 워낙에 익숙하게 자주 쓰이는 말이라 외래어처럼 느껴지지 않으나 포르투갈어가 아예 정착한 귀화어라고 하는데 어떤 과정을 거쳐서 우리나라에 전해진 단어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빵'이라는 단어는 포르투갈어 'pao'에서 온 외래어 입니다. 이 단어는 조선 시대 특히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사이에 포르투갈 선교사들이 조선을 방문하면서 함께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서양 선교사들과 상인들은 일본을 거쳐 조선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았고 그들과 함께 서양의 음식문화도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처음으로 조선 사람들이 빵을 접하게 되면서 그 음식과 함께 포르투갈어 'pao'도 자연스럽게 우리말 '빵'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들어온 단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16세기 일본이 포르투칼과 교류하면서 Pão를 パン으로 발음하며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포르투칼어의 어원은 라틴어 'panis' 라고 합니다)
이것이 그대로 한반도로 전파된 것입니다
참고로 빵의 영어 단어인 'bread'가 전혀 다른 발음을 가진 것은
게르만->독일어(Brot) 유래라서 라틴어계 발음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