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 코로나 걸리면 격리들어가나요?
애기혼자서는 밥도 잘 못챙겨먹고
의식주를 어디에서 해결하는지 궁금합니다
병원같인곳에서 따로 관리를 해주는건가여?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이가 코로나에 감염이 되었을 경우에는 병원에서 따로 관리를 하지는 않고 대부분 보호자와 같이 격리되게 됩니다.
코로나 환자는 보통 코로나에 걸린 환자들과 같이 격리되기 때문에 아이의 격리가 끝난 후에도 보호자도 검사를 받고 음성이 나와야만 격리에서 해제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네 코로나 걸리면 격리들어갑니다.
입원치료를 할 경우 보호자가 같이 입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병원에서 따로 입원하면서 관리해준다고 보면 됩니다.
병상 수에 따라 지역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안녕하세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렸지만 아직 부모의 돌봄이 필요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병원이 아닌 집에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상이 경미하거나 거의 없는 경우여야 하며 아이가 격리 해제된 이후 함께 격리됐던 보호자는 밀접 접촉자에 준해 2주간 추가로 격리 생활을 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애기의 경우도 코로나 걸리면 격리 됩니다.
보통의 경우는 보호자 분들이 아기와 같이 격리되어 치료를 받게 됩니다.
아무래도 아기의 경우는 보호자 분들의 도움이 필요하기에 단순히 애기 혼자 두지는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성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증상 여부에 따라 심하다면 병원으로 가서 치료를 받게 되고
무증상이나 가벼운 증상이라면 생활치료센터나 집에서 자가격리를 하게 됩니다.
아기가 너무 어려 혼자서 생활하기 어려운 상태라면 역학조사관과 상의하여 부모님중 한분이 같은 방에서 같이 격리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집에서 자가격리하는 경우는 화장실이 있는 안방등에서 나오지 않고 음식만 문앞에 두면 가지고 들어가는 등으로 해서
자가격리를 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생활치료센터로 보호자 동반하여 같이 격리될것입니다.
요즘은 재택치료도 늘고 있어서 집에서 격리되는것도 하나의 선택지가 됩니다.
보건소에서 안내해줄테니 너무 걱정하지 마십시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혼자 생활이 불가능한 어린아이는 보호자와 함께 격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보호자분은 항상 옆에 상주하겠지만 그래도 개인방역을 잘 준수하셔야 합니다.
코로나(COIVD)19 바이러스는 공기 중 비말로 전파가 되고 사물에 묻어있던 비말이 손과 눈 코 입을 통해서 들어가면 전염이 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마스크와 손씻기가 매우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위드코로나 정책중에 하나로 고려되는 것이 재택치료로 확진자가 만명대까지 늘어난다는 것을 가정하여 70세미만의 무증상 경증환자가 자가주택(고시원 동유하우스제외)등에 거주하는 경우 스마트폰을 통해 비대면으로 자가 증상을 보고하며 경과관찰하는 방식입니다. 유증상자는 기존대로 생활치료센터 중증시 전담병원으로 입원해 치료를 받게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기의 경우 코로나에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낮으며, 혹여 걸리더라도 대부분 경미한 증상을 가지기 때문에 집에서 부모와 함께 격리됩니다.
간혹 중증인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만 병원으로 격리 치료를 받게 되나, 대부분은 경미한 증상이어서 집에서 자가격리되어 부모와 함께 치료를 받습니다.
경증인 경우 굳이 치료제를 투여하지 않으며 호전될때까지 대부분 상태만 모니터링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감염의 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돌봄이 필요한 소아청소년의 경우 보호를 위해 가능한 보호자(1인)를 지정하고
그 외에 다른 사람과는 독립된 공간에서 생활해야 합니다.
지정된 1인의 보호자는 다른 가족들 또는 함께 거주하는 사람과 대면 대화 등 접촉하지 않아야 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바이러스에 확진될 경우에는 격리 치료가 필요합니다. 아기가 혼자서 생활이 가능하지 않다면 보호자도 같이 격리하여 치료를 진행하여야 합니다. 그럴 경우 보호자 또한 확진자에 준해서 격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