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단아한황새96
단아한황새9621.03.20

헌혈은 빈혈이 있는 사람이 해도 괜찮은가요?

빈혈있는데 헌혈을 해도 괜찮을지요..

심하지는 않지만 기립성 빈혈도 좀 있어서 헌혈을 하고 싶은데 어떨지 모르겠어서 질문합니다.

평상시에 생활 할 때에는 큰 문제 없이 잘 지냅니다.

어떨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헌혈을 시행하기 전 검사를 통해 빈혈 여부를 확인합니다. 일반적인 채혈법 대신 헌혈전에는 혈액비중 검사를 통해 빈혈 여부를 간접적으로 확인 (황산구리수용액 비중을 이용)합니다.

    황산구리수용액에 혈액을 한 방울 떨어뜨렸을 때 황산구리 수용액의 비중보다 혈액의 비중이 높으면 혈액이 가라앉고 낮으면 위로 떠오릅니다. 비중 1.053은 혈색소수치 12.5g/dL에 해당합니다. 비중 1.052에서만 혈액이 가라앉으면 혈색소 수치가 12.0g/dL 이상인 것으로 성분헌혈만 가능 합니다.

    일반적으로 남성의 경우 혈색소 13g/dL, 여성의 경우 12g/dL 이하일 경우를 빈혈이라고 정의합니다. 따라서 빈혈이 있으신 경우 황산구리수용액 비중 검사에서도 빈혈이 확인되어 헌혈이 어려우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빈혈은 혈액속의 혈색소가 일정 수치 이하인 경우입니다.

    혈색소 수치가 충분하지 않다면 헌혈이 어렵기 때문에
    헌혈 전에 검사를 하고 헌혈을 하게 됩니다.

    다음은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의 안내입니다.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헌혈 전에 시행하는 빈혈검사는 왜 하는 건가요?

    혈색소는 혈액속에 적혈구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적혈구가 정상수치 이하인 헌혈자로부터 채혈하는 경우 헌혈자에게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채혈혈액의 경우에는 적합한 혈색소 농도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수혈자에게 양질의 혈액을 공급할 수 없으므로 헌혈전에 혈색소량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혈액 중에 적혈구 수나 적혈구에 포함되는 혈색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헌혈 전에 측정하는 빈혈검사 방법은 주로 말초혈액을 이용한 혈색소 측정지(Hemo cue)를 이용합니다. 전혈 헌혈의 경우 혈색소 수치가 12.5g/dL이상이어야 하며, 성분헌혈의 경우 12.0g/dL이상이어야 합니다. 성분헌혈 중 혈소판성분헌혈, 혈소판혈장성분헌혈의 경우에는 위의 빈혈검사 외에 혈소판 수를 측정하고 있으며 혈액 1μL당 혈소판 수가 15만개 미만인 경우 헌혈을 금하고 있습니다.

    https://www.bloodinfo.net/faq.do?action=bloodTe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