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정품, 가품으로 아이들에게 물건의 가치를 논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같은 반 아이중에, 물건에 대한 가품과 진품을 구분하며 아이들을 편가르는 아이가 있는데, 선생님께 말씀드려서 해결하는게 맞는일인지, 아이 스스로 단호하게 거절하게 만드는게 맞는건지요. 이런 경우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물건의 대한 허황심과 자랑이 심한 아이가 우리 아이 주변에 있다 라면

    그 아이는 그냥 그럴려니 하고 지나치는 것이 좋다 라고 전달을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즉, 그 친구의 모든 행동을 부러워 할 것도 없고, 또한 그 친구의 자랑. 허황됨을 굳이 다 들어줄 필요는 없다 라고

    단호하게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물건의 진품.가품을 나누어 친구들의 편을 가르고, 해당 친구들을 괴롭히고 힘들게 한다 라면 이러한 사실 부분을

    담임 선생님께 전달을 하여 이러한 행동을 하는 그 친구의 행동지도를 부탁 드리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이런 경우 생각보다 꽤 있어요. 요즘 아이들도 브랜드나 물건 가치에 예민해서 친구 사이에 서열처럼 쓰기도 하거든요. 우선은 아이가 그 말에 휘둘리지 않고, '그건 중요하지 않아, 나는 내 게 좋아' 라고 짧게 대답할 수 있도록 연습시켜 주는 게 좋아요. 동시에 담임 선생님께 상황을 공유해 두면, 교실 안에서 그런 분위기가 커지지 않게 지도해주실 수 있어요.

    결국 부모 입장에서는 아이가 물건보다 사람을 먼저 보는 태도를 자연스럽게 배우도록 옆에서 계속 지지해주는 게 가장 든든한 힘이 돼요.

  • 해당 문제에 대해서 선생님께 알리는 것은 충분히 정당한 대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께 상황을 사실 중심으로 충분히 전달하면 아이들 전체를 대상으로 가치관 교육이나 생활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질문자님이 말한 것처럼 아이 스스로 단호하게 거절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물건의 정품, 가품으로 친구를 평가하는 경우는 종종 있습니다. 우선 교사가 규칙과 배려 중심으로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선생님께 상황을 공유해 아이가 차별적 언급을 하지 않도록 지도받는 동시에 아이에게는 단호하게 그건 중요하지 않아라고 표현하도록 가르쳐 자기주장을 안전하게 하는 법을 익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품과 가품으로 아이들의 물건의 가치를 논하는 것은 친구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요. 우선은 아이가 스스로, 그러한 구분이나 말이 불편하다고 말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도해 주세요. 아이가 말을 하고 하지 말라고 하더라도 그러한 문제라 야기되고 있다면, 담임 선생님에게 문제 상황을 공유하여 해결 방안을 논의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