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철학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

악의평범성이라는 말은 어떤의미이며, 누가, 어디에서 처음 언급한 말인가요?

악의 평범성인가, 보편성인가하는 말이 있는것 같던데요, 그런데 악의평범성이라는 말은 어떤의미이며, 누가, 어디에서 처음 언급한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일의 철학자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가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 처음으로 제시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악의 평범성'이란 용어는 독일 출신의 정치철학자인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가 1963년 출간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나치즘의 광기와 살인 기계로서의 관료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개념입니다. 악의 평범성은 특별한 악령이나 괴물이 아닌,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사람들도 아무런 생각 없이 권위에 복종하거나 주어진 임무를 수동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악행을 저지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악의 평범성은 독일계 미국인 정치 철학자 한나 아렌트가 1963년 저작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모든 사람들이 당연하게 여기고 평범하게 행하는 일이 악이 될수있다는 개념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일이 일으킨 2차 세계대전 아돌프 히틀러의 명령에 의해 무려 600만명의 유대인들이 학살당하게 됩니다. 아돌프 아이히만은 나치 독일에서 유대인 축출 및 학살 책임자였습니다. 하이드리히와 함께 홀로코스트의 주동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히만은 전후 아르헨티나로 도주했으나 이스라엘 특공대에게 붙잡히게 되었고 이스라엘 법정에 서게 됩니다. 유대인 600만명을 학살한 악마를 보기 위해 전 세계의 언론이 주목하고 있을 때 법정에 도착한 아이히만은 지극히 폄범한 가장의 모습이었습니다. 한나 아렌트는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 이스라엘 법원의 재판을 받던 아이히만을 보고 악의 평범성 개념을 주장했습니다. 제대로 된 비판정신없이 상부의 명령에 맹종하면 어떻게 된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 표본으로 널리 인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