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유능한스라소니93
유능한스라소니93

고르바쵸프가 소련해체를 결심한 이유

나름 동구권에서 동독이 붕괴되고 특히 폴란드 민주노조등이 쏘련에 반기를 들곤 했지만 고르바쵸프가 실제 쏘련을 해체하게된 결정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르바초프는 길고 길었던 냉전시대를 종식시킨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는 개혁을 통해 공산당 일당 독재였던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을 사회민주주의 국가로 바꾸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개혁은 실패하였고, 고르바초프는 소련을 계속해서 유지하려고 노력했으나 당시 러시아 공화국 대통령 보리스 옐친에 의해 1991년 소련이 해제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54세의 젊은 나이에 소련의 서기장이 된 고르바초프는 나라의 발전을 위해서는 사회주의를 버리고 정치적 민주화를 허용하고 경제 효율성을 높이려고 소련의 개혁을 추구할수 밖에 없었다는군요 소련의 침체된 경제성을 회복하고 정치과정을 효율화하기 원했지만 본의 아니게 소련의 붕괴로 이어졌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르바초프의 결단이 없었다면 냉전은 더 지속되고 또 어떤 전쟁이 터졌을지 모르겠습니다. 고르바초프 당시 소련은 경제 면에서 큰 문제를 안고 있었습니다. 중화학공업과 군수공업에 과도한 투자 및 지출로 경공업과 생필품 공급 등에 문제가 발생하고 생산성은 크게 저하되고 있었으며 공산당은 관료집단이 되어 민중과 거리가 먼 집단이 되었습니다. 소련 해체라는 말이 적극적 뉘앙스도 갖고 있지만, 더이상 버틸 수 없었던 상황에서 내려놓은 것이 아닐까 합니다. 덕분에 세계는 핵전쟁 위험이 덜한 상황이 되었지만 냉전의 한축이 무너지면서 미국이 자유주의진영, 자본주의 진영의 대표주자로 슈퍼파워로 등장하며, 세계는 1극체제로 전환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중국이 맞서는 상황이고 러시아도 국력을 키워 그 진영에서 미국에 맞서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상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르바초프가 소비에트연방을 해체한 것이 아니고,

    소비에트연방이 해체되어 고르바초프는 권력을 잃은 것이라고 해야 맞을 것입니다.

    1985년 3월 11일, 체르넨코가 사망하고,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소련공산당서기장에 당선되어,

    소비에트연방의 경제적 부흥을 위해 정치개혁까지 시행합니다.

    그 결과, 소비에트연방에 속한 나라들이 개혁개방의 영향으로 민족주의운동을 시작하게 된 것이죠.

    그래서 소비에트연방에 소속된 나라들은 연방으로부터 분리독립을 요구하기 시작합니다.

    고르바초프는 소비에트연방이 유지되기를 원했지만, 그가 밀어붙인 개방개혁은 언론통제도 완전히 풀어버렸죠.

    모스크바에서도 외국 방송을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90년에는 이미 6개 공화국, 리투아니아, 몰도바,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아르메니아, 조지아가 개혁적 민족주의자들을 선출하여 자국의 공화국법을 따르고, 이에 반하는 연방법은 거부하게 되었습니다.

    연방에 소속된 다른 나라들도 갈등으로 내전을 겪게 됩니다.

    1991년 3월 17일 연방전체국민투표 결과는 76.4%가 소비에트연방 유지를 원했지만, 이 투표를 거부한 지역들도 있었습니다.

    그 해 6월 12일 러시아 대통령선거에서 보리스 옐친이 러시아공화국 대통령에 당선 되자, 러시아는 즉시 연방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해 버립니다.

    8월 19일에는 소비에트연방에 쿠데타가 일어나 고르바초프는 크림반도에 연금되는 일도 일어납니다.

    옐친은 쿠데타를 진압했고, 사실상 돌아온 고르바초프는 전혀 권력을 행사할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12월 25일 저녁 7시, 고르바초프는 전국 텔레비전 연설을 통해 사임하고, 옐친에게 전권을 위임합니다.

    이렇게 소비에트연방은 해체된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