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스컹크183
우람한스컹크183

고르바초프가 개혁 개방을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러시아의 고르바쵸프 시기에 소련은 급속히 몰락하고 결국 소련의 여러나라들은 분리 독립해나가기 시작했는데 이런 혼란의 시기 소련의 고르바쵸프가 개혁 개방을 시도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혁 정책의 원래 의도는 정치적으로는 사회주의를 지켜나가면서 낙후된 경제를 성장하기 위한 개혁입니다. 경제의 성장을 위해 자본주의를 받아들인것이고 정치는 사회주의를 지켜낸것이라 할 수있습니다.

    따라서 경제가 붕괴되면 정치도 붕괴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그러한 선택을 한 거라고 볼 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고르바초프는 1985년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 집권했습니다. 그는 소련의 경제난과 정치적 혼란을 타개하기 위해 개혁 개방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개혁 개방 정책은 소련의 경제를 시장경제로 전환하고, 정치적 자유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 정책은 초기에는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소련의 경제는 성장했고, 정치적 자유도 확대되었습니다. 하지만, 개혁 개방 정책은 소련의 공산당 체제에 대한 위협이 되었고, 결국 소련의 붕괴로 이어졌습니다.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 정책은 성공과 실패를 모두 거둔 정책입니다. 하지만,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 정책은 소련의 붕괴를 가져오긴 했지만, 소련의 경제와 정치를 개혁하고, 소련의 시민들에게 자유를 주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Mikhail Gorbachev)는 전 소비에트 연방의 마지막 총비서로서 1985년부터 1991년까지 그 지도하에 있었습니다. 그가 개혁과 개방을 시도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경제적인 어려움: 소비에트 연방은 글래스노스타리(Glasnost)와 페레스트로이카(Perestroika)를 시행하기 전에 이미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높은 군비 지출, 계획경제의 비효율성, 기술력 저하, 쇠퇴하는 생산성 등으로 인해 소비에트 경제는 매우 쇠퇴하고 무거운 빚을 짊어져 있었습니다.


    2.미국과의 경쟁: 냉전 시대에 미국과의 경쟁은 심상치 않았습니다. 미국은 경제적으로도 강력하고 민주주의적인 정치 체제로 인해 소비에트 연방은 기술적, 경제적으로 뒤쳐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압박에 대응하려고 고르바초프는 소비에트 연방의 체제를 개혁하고 경제 개방을 시도했습니다.


    3.정치적인 쇠퇴: 소비에트 체제는 오래된 지배 체제로서 권위주의적이고 비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점차적으로 사회의 불만과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불안정한 상태에 처해져 있었습니다. 고르바초프는 이러한 정치적인 쇠퇴를 극복하고, 사회의 불만을 완화시키기 위해 개혁과 개방을 시도한 것입니다.


    4.사회적인 변화 요구: 소비에트 연방 내부에서는 국민들의 요구와 사회적 변화가 점점 커지고 있었습니다. 정보 접근에 대한 제한, 사회적 불평등, 정치적 차별 등으로 인해 민중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개혁과 개방을 시도한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고르바초프는 1985년에 마지막 소비에트 연방의 지도자로서 개혁과 개방을 시도하였으며, 이는 그 후의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와 냉전의 종료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동서 냉전의 최절정에서 소련의 최고 지도자였음에도 탈냉전 시대가 도래할 것임을 직감하고 과감한 개혁·개방을 시도했다고 합니다. 즉, 소련도 변화가 필요 하다는 것을 누구 보다더 잘 직감 하고 있었습니다. 세계 정치의 흐름을 누구보다 정확히 꿰뚫어 본 안목이 있는 사람 이였고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정치적으로는 민주화를, 경제적으론 개혁·개방을 추구해야 평화를 지향하는 대국이 될 수 있다는 신념이 강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