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금리인하시 우리나라도 인하를 할까요.
안녕하세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안하 압박이
거센 상황에서 고용지표가 안 좋아지고
있다보니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을 하고 있는듯 한데
미국이 금리 인하를 하면 몇 %정도
예상 하시는지
미국 금리 인하시 우리나라도 금리
인하를 예상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일단 미국도 현재 금리 인하를 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물가가 높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고
최근의 생산자 물가 지수는 예상치보다 한참 더 높게 나왔기에
기준 금리 인하가 과연 될까 의구심이 듭니다.
물론, 미국의 기준 금리가 인하되면 우리도 기준 금리를 인하해야 할 것인데
이것도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에 미국이 금리인하시 우리나라도 자언적으로 인하를 따라서 해야됩니다 인하를 해야 인하로 우리나라에 피해가 없어질거예요~~
미국 금리 인하시 한국 금리 인하 가능성
한국은행은 2025년 들어 이미 기준금리를 두 차례(3.00%→2.50%) 인하한 바 있으며,
미국의 금리 인하 시 국내 물가상승률, 환율, 경기상황에 따라 추가 금리 인하가 충분히 예상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한국도 2.50~2.75% 수준까지 연내 추가 인하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요약
9월 미국 금리 인하는 0.25%포인트가 가장 유력하며, 폭은 0.25~0.50%p 예상
미국이 인하하면, 한국은행도 추가 인하 가능성 높음(현 2.50~2.75% 전망)
국내외 경제와 환율 등 여건에 따라 실제 인하폭과 시점이 달라질 수 있음
즉, 미국의 금리 인하가 이루어지면 우리나라도 추가 인하 가능성이 높으며, 시장과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정책이 결정될 전망입니다.
우리나라역시 미국이 금리인하를 하게되면 금리를 내릴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많은 자본이 미국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기에 미국금리는 우리나라의 금리인하에 큰 영향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는 9월에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긴합니다. 트럼프가 강하게 얘기 하고 있으니 그렇게 가지 않을까 합니다.
다만 이번에 발표된 생산자물가지수가 예상치를 많이 웃돌아 0.25% 정도 내리지 않을까 합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도 보통 따라가니 같은 퍼센트 정도 내리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