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비 50~60만원 자차 처리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주차하다가 자동차 뒤 휀더쪽을 벽에 긁어서 스크레치가 났습니다. 저의 실수이며 다른차 피해는 없습니다.
보험 가입한지는 1년이 넘지 않았습니다.
견적을 내 보니 도색으로 50~60정도 부르는 것 같습니다.(여러 군대 알아봤어요)
이 경우 자차 처리하는게 좋을지, 제 사비로 처리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수리비가 50-60 정도라면 보험처리없이 직접 처리하시는 것도 방법일 듯 합니다.
다만 현재 납부하고 있는 보험료와 자차처리시 자기부담금 부분 감안하여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보험처리시 할증기준은 아니나 사고건수 추가로 무사고할인이 없어지고 사고기록 3년 유지이기에 이 부분 감안해서 처리해야 할 것입니다.
보통 그 정도 금액이면 최소 자기부담금을 제외하면 실제로 자차 보험금으로 받는 금액은 30~40만원입니다.
그 정도 소액인 경우 3년간 사고 1건이 계산되어 무사고 할인유예 적용을 받는 것 보다는 사비 부담이 더
유리합니다.
현금 결제할테니 조금만 할인해서 수리해달라고 해서 현금 수리하는 것으로 처리하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이 경우 자차 처리하는게 좋을지, 제 사비로 처리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 우선 해당 사고를 자차처리시에는 자기부담금이 20만원으로 실제 보험처리되는 금액은 30-40만원정도이고,
해당 금액을 보험처리시에는 물적할증은 안되나, 사고처리건수 할증이 일부 적용되고, 3년간 할인혜택을 받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 보험료를 기준으로 실익을 따져보아야 하는데, 정확히 보험료가 얼마인지는 알수 없으나, 가입한지 1년되었다면 보험료가 높을 것으로 즉 보험료가 100만원이상이라면 할증 및 할인유예를 고려했을 대 개인처리가 경제적으로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