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요즘 아직 겨울날씨인데 핫팩가지고 다니면 따뜻한데 그 원리 알 수 있을까요?

제가 손이 차서 악수할 때 너무 손이 차다고 핫팩을 선물로 보내주셨어요.

막 흔들면 따뜻해지던데 날씨가 추울 때 요긴하게 활용해서 좋은 것 같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조한낙타 245
      건조한낙타 245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핫팩의 경우 내부에 철성분이 들어 있다고 합니다. 이철성분이 공기와 만나서 산화하면서 생기는 열이라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핫팩을 선물로 받아서 기쁘네요. 핫팩은 날씨가 추울 때 따뜻함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그 원리는 간단합니다. 핫팩 안에는 철분 물 소금 순수한 산소가 들어있는데요. 이들이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데 이게 핫팩을 따뜻하게 만드는 원리입니다. 핫팩을 흔들면 이 반응이 더욱 활발해져 따뜻한 열을 더 많이 발생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핫팩을 흔들면 따뜻해지는 것이죠. 핫팩은 간단하지만 유용한 제품이니 추운 날씨에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핫팩의 내부에는 철가루와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철은 산화철이 되는 과정에서 1g당 약 1.69Kcal의 열량을 방출하고 이 열을 이용하는 것이죠.

      즉, 포장지를 뜯는 순간 산소를 만난 핫팩 내부의 철가루는 산화하기 시작하는데, 그 과정에서 앞서 말씀드린대로 1g당 1.69Kcal의 열이 발생하며, 활성탄과 염화나트륨과 같은 첨가제는 더 빠르게 반응이 나타나도록 촉매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핫팩의 내부는 철가루, 활성탄, 톱밥, 염화나트륨, 질석, 소량의 물로 채워져 있어요. 여기서 철가루가 열을 내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요. 철은 산소를 만나면 산화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열이 발생해 핫팩이 따뜻하게 느껴지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핫팩이 따뜻해지는


      과학적 원리는 발열 반응입니다.


      핫팩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발열

      반응이 이용되지만, 대표적인 두 가지 원리를 설명합니다.



      일반적인 일회용 핫팩은 철가루와 소금, 활성탄, 물 등이


      포함된 비닐 파우치로 구성됩니다.


      핫팩을 흔들면 철가루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산화 반응을 일으킵니다.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여 핫팩이 따뜻해집니다.


      소금과 활성탄은 산화 반응을 촉매하여


      열 발생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재사용 가능한 핫팩은 흡수제와 용액으로 구성됩니다.


      흡수제는 물을 흡수하고 용액은 물을 흡수하면서 발열 반응을 일으킵니다. 핫팩을 끓는 물에 담그면


      흡수제가 물을 흡수하고 용액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킵니다.


      핫팩이 차가워지면 흡수제 안에 있는


      물을 빼내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핫팩의 종류에 따라 발열 반응의 원리가 다를 수 있습니다.


      핫팩 사용 시 주의사항을 숙지해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흔들어서 따뜻해지는 핫팩은 철의 산화 반응을 이용한 발열 원리를 사용합니다. 핫팩안에는 철가루, 소금, 활성탄 등이 들어있는데, 이 성분들이 산소와 만나면 철이 산화되면서 열을 발생해 따뜻해지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