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호프배달
호프배달

아파트 주차를 편하게 하려면 주차대수가 세대당 몇대정도여야 하나요?

안냥하세요.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아파트 주차를 편하게 하고 싶은데 세대당 주차대수가 평균 몇정도야지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은 세대당 차대수가 많고 또 차가 커서 주차하기가 불편합니다

    요즘아파드는 세대당 1.5~1.7까지도 한다고 합니다

    요정도는 되어야 주차가 좀편할거 같고 주차넓이를 좀키우면 좋을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안냥하세요.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아파트 주차를 편하게 하고 싶은데 세대당 주차대수가 평균 몇정도야지 가능한가요?

    ==> 아파트에 주차를 편하게 한다면 세대당 주차대수가 1.3대 정도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편하게 주차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이전에는 자동차가 보급이 지금보다는 낮았기 때문에 지상에 주차장을 두었더라도 세대별 주차에는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았으나, 시대가 지나면서 건설기술 발달등으로 지하주차장이 일반화되면서 주차공간이 세대별로 높아지게 되었음에도, 그보다 더 빠르게 자동차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세대당 차랑보유대수가 늘어났고 그에 따라 전체적인 입주세대 차량대수가 매우 크게 늘어나게 됩니다. 현재 23년 기준으로 아파트 세대당 주차대수는 0.86대인데, 1인당 자동차 보유대수가 0.95대로 대부분의 아파트에서 주차문제는 흔하게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이론상은 세대당 1대이상의 주차공간확보가 되면 해결가능한 수준이라고 하나, 수치상 일뿐 실제 아파트 입주민내 총 차량대수에 따라 그 이상의 공간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무조건 건축시에 주차대수를 늘리는 것에도 한계가 있기 떄문에 결국 아파트내에서 우선주자체나 다른 방법을 찾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게 노력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주차대수는 보통 1.4이상은 되어야 주차할때에 큰 스트레스 없이 주차가 가능합니다. 물론 이중주차도 어느정도 하기는 합니다. 1.7정도는 되어야 쾌적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주택단지에는 주택의 전용면적의 합계를 기준으로 하여 같은 호의 표에서 정하는 면적당 대수의 비율로 산정한 주차대수 이상의 주차장을 설치하되 세대당 주차대수가 1대 또는 세대당 전용면적이 60제곱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0.7대 이상이 되도록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차량보유 대수가 늘어남에 따라 아파트를 지을 경우 이보다 더 많게 세대 보다는 1.5대 이상은 주차장을 건립해야 널널하게 주차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주차장에 대한 법률규정은 주택건설기준에 관한 규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주택면적에 따라 1가구당 0.5-0.7대로 규정되어있는가 하면 공동주택은 1가구당평균대수가 1대입니다

    크러나 사울의 경우는 32평당 1.13대가 기준입니다 부산지역은 1대이구요

    저의 생각은 주차공간이 작다보니 차량 안전시고가 많이 발생하여 이웃간 다툼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더구나 요즈음은 마이카시대라 하여 가구당 2대이상이 증가하다 보니 주차하기가 전쟁터입니다

    따라서 32평당 1.5대로 개정하여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췾도록 하여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주차대수는 법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보통 0.8대에서 1대 정도로 최소기준이 정해져

    있지만 편하게 주차하고 싶으시다면 1.5대에서

    2대정도는 되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요즘에는 한집당 차가 2대씩 되는집도 많아서 적어도 1.5대 이상 정도는 되야 좀 수월하게 주차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1대 ~ 1.5정도 까지는 저녁 늦게 오면 좀 멀리 대야 할 수도 있는 정도이고 1.5대가 넘어가면 그나마 좀 가까운 곳에도 자리가 있는듯 합니다.

    물론 지역마다 한집당 차량 수가 다르니 지역의 편차도 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국 감정평가사입니다.

    주차대수는 지역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세대당 1.7대이면 그래도 좀 여유가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세대당 2대인 곳에 거주하는데 주차걱정은 전혀헚는 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법으로 정해진 주차대수는 전용면적 85m2 이하인 경우 서울특별시 75m2 당 1대 / 광역시.특별자치시.수도권 85m2당 1대 / 시.수도권(군) 95m2 당 1대 / 기타지역 110m2당 1대 로서 가구당 1대가 훨씬 넘는 현재의 상황에 부족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가구당 1.5대 정도는 되어야 어느정도 여유가 있을 것인데, 30년 초과한 오래된 아파트는 세대당 주차 가능대수가 0.68대에 불과하고 21~30년 이하는 0.99대, 11~20년 이하 1.3대, 6~10년 1.23대, 5년 이하가 1.28대로 주차공간 부족이 심한 상태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주차를 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세대당 주차 대수가 1.5대 이상인 것이 좋습니다.

    세대당 주차 대수가 1.5대 이상이면 주차 공간이 여유로워 주차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이나 아파트 단지의 특성에 따라 주차 대수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아파트를 선택할 때는 주차 대수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교통 편의성 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대형 평수가 많이 포진해 있는 아파트가 주차대수가 많습니다.

    요즘 신축은 1.2가 많은데 그래도 주차 할만하네? 정도 생각이 들려면 1.5정도는 되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세대당 3대정도되면 널널합니다만 보통 일반아파트는 세대당 1.3대정도가 많습니다. 그래서 항상 부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