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머쓱한갈기쥐165
머쓱한갈기쥐16522.01.16

우주에서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궁금합니다

아무것도 없는 우주에서 행성이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궁금해요.원시 행성들이 만들어지고 부딪이면서 크기가 커진다고 하는데 뭉쳐야만 크기가 커지는거 아닌가요?그리고 원시 행성이 먼지덩어리라고 하는데 먼지덩어리가 분해되진 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이 생겨나고 남은 가스 구름 및 먼지로 이루어진, 원반 모양의 ‘태양 성운’에서 여러 행성이 생성되었다고 여겨진다.

    현재 인정받는 행성 생성 이론은 강착(降着) 이론이다.

    강착 이론에 의하면, 행성들은 중심부의 원시별 주위를 도는 먼지 알갱이들이 뭉치면서 생겨났다.

    이 알갱이들은 직접 서로 충돌하면서 지름이 1~10킬로미터에 이르는 천체, 곧 미행성으로 자라났다.

    이 미행성은 작은 천체를 빨아들이면서 수백만 년에 걸쳐 매년 15센티미터 정도씩 지름이 커졌다.

    태양과 가까운 지역(4천문단위 이내)은 온도가 높아서 물이나 메테인과 같은 휘발성 분자들이 압축될 수 없었기 때문에, 여기서 생겨난 미행성들은 금속류(철, 니켈, 알루미늄) 및 규산염 암석 등과 같이 녹는점이 높은 물질로만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런 암석 천체는 종국적으로 수성을 비롯한 금성, 지구, 화성과 같은 지구형 행성이 되었다.


  • 안녕하세요. 복선정 약사입니다.

    부딪혀서 서로가 뭉치게된다는 의미입니다. 행성 기준으로 작은 조각조각이 뭉치고 뭉쳐서 행성이 형성됩니다. 물론 충돌로 인해서 일부가 튕겨 나갈수도 있고 이러한 과정으로 행성의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이 생성될 수 있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 우주에서 행성은 별 주변의 먼지와 가스가 서로 모여 중력으로 인해 충분한 질량을 가지게 되어 형성됩니다. 이렇게 형성된 원시 행성들은 서로 충돌하며 크기가 커지고, 그 결과 점차적으로 형태가 정해져 지구, 목성, 금성 등의 행성들이 탄생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먼지덩어리는 서로 충돌하면서 합체되고, 분해되지 않습니다. 이후 행성의 내부 열로 인해 액체나 기체로 녹아내려 밀도가 높은 중심부와 밀도가 낮은 지각층 등으로 구분됩니다.